카메라 뒤에선 수시로 열불내는 대통령들[정미경의 이런영어 저런미국]
현명한 리더는 분노를 조절하는 법을 안다
미국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궁금하십니까. 영어를 잘 하고 싶으십니까. 그렇다면 ‘정미경의 이런 영어 저런 미국’으로 모이십시오. 여러분의 관심사인 시사 뉴스와 영어 공부를 다양한 코너를 통해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입니다. 아래 링크로 구독 신청을 해주시면 기사보다 한 주 빠른 월요일 아침 7시에 뉴스레터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 신청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Old Yeller.” (늙은 고함쟁이) |
바이든 대통령은 공식 석상에서는 농담을 섞어가며 여유롭게 얘기하는 ‘애버리지 조’(Average Joe)이지만 사람들이 안 보는 데서는 자주 분노를 폭발시키는 ‘앵그리 조’(Angry Joe)가 됩니다. 일명 ‘두 얼굴의 조.’ 5개월 후가 대선인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뒤진 지지율이 오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sick fuck’(역겨운 놈), ‘fucking asshole’(개자식) 등 강한 욕도 서슴지 않습니다.
대통령은 화를 잘 내지 않는 쿨한 성격이기를 바라는 것이 대다수 국민의 마음입니다. 국정을 책임지는 지도자는 감정이 아닌 이성에 지배돼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려운 결정을 자주 내려야 하는 대통령은 화를 낼 일도 많은 자리입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마지막 순간에 분노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입니다. 최근 한국 대통령의 격노가 논란이 되는 가운데 미국 대통령들의 분노 조절법을 알아봤습니다.
Get your act together, Reggie. Help me do my job.” (레지, 정신 차려. 내가 일할 수 있도록 도와줘) |
분노를 그 자리에서 폭발시키지 않고 삭이는 것을 ‘cooling off’(냉각)이라고 합니다. 개인비서였던 레지 러브 보좌관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쿨링오프를 잘 활용하는 지도자였습니다. 대선 후보 시절 토론회를 앞두고 러브 보좌관은 중요한 토론 원고가 든 가방을 분실했습니다. 한바탕 질책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가방을 다른 곳에 두고 왔다고?”라고 되물은 것이 전부였습니다. 러브 보좌관에게 반성의 시간을 주고, 자신에게는 화를 다스리는 시간이었습니다. 러브 보좌관은 나중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 silence felt worse than being reprimanded.”(침묵이 혼나는 것보다 더 괴로웠다)
다행히 토론회가 시작하기 전 가방을 찾았습니다. 토론회가 끝난 뒤 오바마 대통령은 러브 보좌관을 조용히 불렀습니다. 해고를 각오한 러브 보좌관에게 각자 자신이 맡은 일을 하자는 담백한 충고를 건넸습니다. ‘get your act together’(너의 행동을 함께 갖춰라)는 미국인들이 좋아하는 충고 멘트 1호입니다. ‘정신 차려라’라는 뜻입니다. 비슷한 의미로 ‘pull yourself together’(너 자신을 함께 당겨라)도 많이 씁니다. 이건 좀 더 훈계의 강도가 높습니다.
Never waste a minute thinking about people you don’t like.” (싫어하는 사람에 대해 생각하느라 단 1분도 허비하지 말라) |
어머니는 상처에 반창고를 붙여주며 좀 더 쉽게 설명했습니다. “Hating is a futile thing. The person who has incurred your displeasure probably doesn’t care, possibly doesn’t even know, and the only person injured is yourself”(미움은 헛된 일이란다. 네가 미워하는 사람은 네가 미워한다는 것에 관심도 없고, 아마 알지도 못할 거야. 너만 상처를 입을 뿐이란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나중에 자서전에서 “그날 밤 어머니가 들려준 교훈을 평생 잊지 않고 살았다”라고 밝혔습니다. 그의 좌우명입니다. ‘waste time’이라고 해도 되지만 단 1분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waste a minute’이라고 했습니다.
이 좌우명을 바탕으로 ‘분노의 서랍’(anger drawer)을 지니고 살았습니다. 자신을 화나게 한 사람의 이름을 종이에 적어 책상 맨 아래 서랍에 넣고 잠그는 것입니다, 분노의 서랍을 가장 많이 차지한 것은 기자들의 이름이었습니다. 연합군 총사령관으로 유럽에서 싸우는 동안 미국에 있는 기자들은 전장을 보지도 못하면서 조그만 문제라도 생기면 총사령관의 잘못으로 돌리는 기사를 썼습니다. 그런 기사를 읽을 때마다 얼굴을 찡그리거나 한숨 한 번 쉬는 정도로 넘어갔습니다. 정 안 되면 기자의 이름을 적어 분노의 서랍에 넣었습니다. 내용물을 확인하지 않고 서랍을 비우는 것은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연말 행사였습니다.
I’m really ticked off about this.” (지금 이 상황에 대해 정말 열 받았어) |
‘tick’(틱)은 ‘시계가 째깍거리다’라는 뜻입니다. 또한 ‘박스에 체크하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check the box’라고 해도 되고 ‘tick the box’라고 해도 됩니다. ‘tick off’는 제1차 세계대전 때 자격 미달 군인 이름 옆에 체크를 하는데 하도 그 숫자가 많아서 담당자가 열을 받았다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화나게 하다’라는 뜻입니다. 만약 다른 사람의 무례한 발언에 기분이 상했다면 “His rude comments ticked me off”라고 합니다. 또는 수동형으로 “I was ticked off by his rude comments”라고 합니다. 조금 더 친한 사이라면 ‘piss off’라고 해도 됩니다. 바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을 비난하며 사임하더니 최근 다시 지지 의사를 밝히는 등 오락가락 횡보하고 있습니다.
명언의 품격
To Gen. Meade, never sent, or signed.” (미드 장군에게, 보내지도 않고 서명도 안 했다) |
링컨 대통령은 이후 미드 장군에게 리 장군을 놓친 문제를 단 한 번도 얘기하지 않았습니다. 아직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입니다. 미드 장군은 계속 북군을 지휘했고, 2년 뒤 전쟁은 북군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링컨 대통령의 쿨한 리더십은 이후 대통령들에게 큰 교훈을 남겼습니다. 화 잘 내기로 유명한 시어도어 루즈벨트 대통령은 벽에 링컨 초상화를 걸어놓고 중대한 문제에 부딪힐 때마다 이렇게 물었습니다. “How would Lincoln solve this problem?”(링컨이라면 이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
오늘날까지도 효과적인 분노 조절법으로 심리학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편지의 시대가 아니므로 e메일로 대체됐습니다. 분노를 느끼는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e메일을 씁니다. e메일을 자신에게 발송합니다. 30분 후 e메일을 읽어봅니다. 분노 상태에 내린 결정을 냉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실전 보케 360
질 여사가 73세의 여성으로 쉽지 않은 대서양 횡단 강행군을 벌인 것은 델라웨어 연방법원에서 열리고 있는 아들 헌터 바이든의 불법 총기 소지 재판을 방청하기 위한 것입니다. 헌터 바이든은 배 아파 낳은 자식은 아니지만 어릴 적부터 키웠기 때문에 친아들과 마찬가지입니다. 게다가 지금은 대선 시즌이기 때문에 바이든 대통령 가족은 한 명이라도 더 법정에 나와 응원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CNN은 아들 재판에 출근 도장을 찍는 질 여사에 대해 말했습니다.
The first lady was on hand for the proceedings for three days earlier this week.” (퍼스트레이디는 이번 주 초 사흘 동안 재판에 참석했다) |
이런 저런 리와인드
동아일보 지면을 통해 장기 연재된 ‘정미경 기자의 이런 영어 저런 미국’ 칼럼 중에서 핵심 아이템을 선정해 그 내용 그대로 전해드리는 코너입니다. 오늘은 2019년 10월 7일 소개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분노에 관한 내용입니다. 원래 화 잘 내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스캔들에 대한 하원 탄핵 조사가 시작되자 극도로 예민해졌습니다. 우크라이나 스캔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부를 압박해 당시 민주당 유력 대선 주자였던 바이든 부통령의 아들 헌터 바이든에 대한 표적 수사를 시도했다는 스캔들입니다. 하원에서 탄핵 소추안이 통과됐지만, 상원에서 부결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직을 지켰습니다.
▶2019년 10월 7일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007/97756970/9
Sadly, he choked!” (슬프게도 그는 숨이 막힐 지경이었어) |
Pompous ass.” (거들먹거리는 멍청이) |
That guy couldn’t carry Mike Pompeo’s blank strap.” (그 사람은 마이크 폼페이오의 보호대를 찰 위인이 못 된다) |
정미경 기자 micke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할부지 왔나요” 중국 간 푸바오, 한국말 들리자 두리번거려
- 신생아 다리에 6시간 보온 팩 놔둬 화상 입힌 간호사 벌금형
- “실패자” “기생충” 온라인서 유튜버 모욕한 이근, 벌금 500만 원
- “장사 망하게…” 대구 ‘갑질 공무원’ 논란에 홍준표 대답은?
- 민주노총·촛불행동 주말 대규모 집회…교통 혼잡 예상
- 선우은숙 측 “유영재, 친언니 성추행 혐의로 검찰 송치”
- 라면 ‘이렇게’ 먹으면 건강하게 먹을 수 있다
- ‘낼모레 환갑 실화?’…58세 동안男 “아침으로 ‘이것’ 먹는다”
- 마약 치료하러 갔는데…옥상에서 또 마약한 환자들 덜미
- ‘암투병’ 박주호 아내, 건강한 근황…김진경♥김승규 결혼식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