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도 안되는 4등, 왜 하겠어”…이통사 또 만들겠다는 정부, 헛다리 짚었다 [나기자의 데이터로 세상읽기]
스테이지엑스 자본금 못모아 실패
내수 기댄 이통사 늘리는건 과잉투자
수출 가능한 통신장비 경쟁력 확보를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매각도 대안
한화가 인수해 통신·방산 시너지 유도
단순히 ‘제4이통이 실패했다’를 넘어 우리는 더 큰 질문을 해야 할 때입니다. 통신산업 발전을 위해 어떤 것이 더 필요할까요?
이 상황에서 내수기반 제4이통을 만드는 게 얼마나 타당한 일일까요? 시장에 경쟁 사업자가 1곳 더 늘어나니, 소비자 입장에선 일시적으로 요금 하락 등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한정된 파이를 나눠 먹는 꼴입니다. 수익성이 나지 않는 곳에 투자를 더 많이 하는 것은 ‘과잉투자’에 해당합니다. 국가 자원배분 관점에서 보면 매우 비효율적인 일입니다.
통신산업은 크게 보아 통신서비스(내수)와 통신장비(수출 가능)로 나뉩니다.
정부는 제4이통으로 대변되는 통신서비스보다는 미래를 위해 통신장비 산업을 육성해야 합니다. 통신서비스는 수출이 불가능하지만, 통신장비는 수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전향적인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9년 세계 최초로 5G를 도입한 국가입니다. 하지만 5G 상용화 이후 통신 산업서 누가 가장 돈을 벌었을까요? 바로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입니다.
2020년 매출액 160조원을 기록했던 화웨이는 미국이 5G칩 납품을 더 이상 해주지 않자 스마트폰 분야에서 매출이 곤두박질치면서 2021년 매출액이 114조원까지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위기의 순간에도 화웨이를 버티게 해준 원동력이 있었습니다. 바로 매출의 약 40%를 차지하는 통신장비 분야입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화웨이 통신장비는 에릭슨 노키아 삼성전자 등 타사에 비해 값이 40%가 싸면서 성능이 1.5배가 더 좋다”고 말합니다. 유럽 현지 매체인 유로뉴스에 따르면 유럽연합(EU) 회원국 대부분이 화웨이나 ZTE 등을 배제하는 법안을 마련했지만 27개국 중 10개국만 제재를 따르고 있습니다. 또한 제재에 동참한 10개국에서도 화웨이 장비 철거 작업이 지지부진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화웨이의 기술력이 그만큼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화웨이의 지난해 세계 통신장비 시장 점유율 31.3%로 1위입니다. 에릭슨(24.3%) 노키아(19.5%) ZTE(13.9%) 삼성전자(6.1%)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통신장비를 만드는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는 지난 5월 비상 경영을 선언했습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29.7% 하락한 3조7800억원 매출을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올해 1분기도 국내와 북미 등 주요 해외 시장 매출이 전 분기보다 감소했습니다.
업계에선 통신장비 산업을 제대로 육성하기 위해선 다른 그룹사가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를 인수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통신장비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다른 재벌그룹이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를 인수해 그룹 핵심 먹거리로 키우는 것이 국가적 관점에서 더 좋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삼성은 사모펀드와 일하지 않기 때문에 삼성그룹이 네트워크사업부를 매각한다면 사모펀드가 아니라 다른 그룹사에게 넘겨야 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8월 폴란드 군비청과 3조원대 K9자주포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해외에서 수주하고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 인수로 기존의 우주·지상 방산에서 해양까지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시스템’을 갖춰 글로벌 방산 기업으로의 성장 토대를 구축하고 있죠.
한 IB 업계 관계자는 “국내 재벌 오너 중에 최근 행보가 가장 성공적인 사람이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라며 “방산이라는 확실한 미래 먹거리를 설정하고 오너가 책임지는 경영을 하다 보니 미래 성장성이 밝은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례로 한화의 방산사업은 통신장비 시장과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약 1년 전인 2023년 7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방승찬 원장은 필자와의 인터뷰서 민군겸용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우리 통신산업이 살아갈 길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당시 방 원장은 “지상통신망이 파괴된 우크라이나에 스타링크 저궤도 위성통신이 들어가면서 군사작전 등이 벌어지는 유사시에 저궤도 위성이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줬다”라며 “200여 대 저궤도 위성을 발사해두면 향후 국내 방산업체가 우리 무기를 해외에 팔 때 6G 군 통신도 같이 판매할 수 있게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방 원장의 발언은 6G가 기본적으로 ‘하늘서 구현되는 통신’이란 전제로 나온 발언입니다. 미국이 위성통신, 중국이 지상통신서 강점을 보이는 시장에서 체급이 안되는 우리는 민군겸용을 통해 니치마켓(틈새시장)을 공략하자는 발언이었죠. 폴란드에 무기를 팔 때 통신장비도 같이 끼워서 팔자는 발상입니다.
비단 한화그룹뿐만 아니라 다른 그룹사 중에서도 충분히 통신장비 산업을 ‘제1순위’로 놓고 적극 발전시킬 그룹사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혹은 인수합병뿐만 아니라 삼성그룹 내에서 분사 혹은 여러 인센티브를 통해 네트워크사업부를 살리는 방안을 마련할 수도 있을 겁니다.
다만 분명한 사실은 통신장비 산업을 어느 정도 발전시켜놔야 우리가 향후 도래할 6G, 7G 시대 때는 진정하게 통신산업을 ‘미래 먹거리’로서 바라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혹자는 오픈랜(개방형 무선접속망)이 활성화되면 장비업체의 영향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하지만, 실제 산업 현장의 복수 관계자에게 확인해보면 여러 법적책임 이슈 등으로 오픈랜이 단기간에 대세가 되긴 힘들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통신장비 시장은 여전히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 면에서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는 내수에 시각이 머물며 ‘제4이통’을 추진하기보다는, 6G·7G 시대에 맞춰 통신장비 산업경쟁력을 더욱 높일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영부인에 300만원어치 엿 선물 되나요?”...조롱거리로 전락한 권익위 - 매일경제
- “너무 빨리 팔아 200조 손해”…회장님도 아쉽다는 이 주식 - 매일경제
- “이러다 정말 나라 망한다”…한국人 합계출산율 ‘8분의 1’로 추락 ‘충격’ - 매일경제
- “좋은 시절 이제 끝났다”…한국 대놓고 저격한 태국, 무슨일이 - 매일경제
- “더위 한풀 꺾이는 건 좋은데”…주말 장마 ‘물폭탄’ 예고 - 매일경제
- “이것 터지면 서방 최후의 날”…미국, 우주 대참사 경고 왜? - 매일경제
- “딸 결혼 날짜 알리지 않았으면 한다”…조국 발언에 정유라가 한 말 - 매일경제
- “여름엔 정말로 조심 또 조심”…초등학교서 무더기 식중독, 20여명 복통 - 매일경제
- “겨우 5500원 주고 산 꽃병인데”…마야문명 유물, 박물관으로 - 매일경제
- “RYU, ML에서 대단한 선수였다는 걸 알고 있다” ML 78승 괴물 향한 존경심, 1억 美 독립리거 韓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