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의 거대폭풍 ‘대적점’의 비밀은? [우주로 간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 2024. 6. 22. 08: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665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조반니 카시니는 목성에서 거대한 폭풍이 일어나는 것을 목격했다.

IT매체 기즈모도는 과거 조반니 카니시가 발견한 목성 대적점이 지금 우리가 목성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적점과 다른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1665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조반니 카시니는 목성에서 거대한 폭풍이 일어나는 것을 목격했다. 이 폭풍은 계속 목성의 같은 자리에서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면서 ‘영구 반점’(permanent spot)’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소용돌이 모양의 타원형 구름인 목성의 ‘대적점’(Great Red Spot)은 지금도 목성의 가장 유명한 특징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IT매체 기즈모도는 과거 조반니 카니시가 발견한 목성 대적점이 지금 우리가 목성에서 관찰할 수 있는 대적점과 다른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최근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실렸다.

목성 대적점에서 움직이는 바람을 시뮬레이션한 모습 (영상=허블우주망원경 유튜브)

스페인 바스크 대학 행성과학자 아구스틴 산체스-라베가는 "크기와 움직임을 측정한 결과, 현재의 대적점이 카시니가 관측한 '영구 반점'일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추론했다"며, "'영구 반점'은 아마도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사이에 사라졌을 것이며, 지금의 대적점 수명은 약 190년을 넘어섰다고 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카시니가 목성에서 검붉은 타원 모양의 폭풍을 발견한 후, 천문학자들은 1713년까지 이 폭풍을 계속해서 관찰했다. 하지만, 그 후 100년 이상 동안 대적점은 보이지 않았고 1831년이 되어서야 다시 같은 위도에서 타원형 반점이 나타났다. 그 이후로 과학자들은 그것이 동일한 폭풍인지 아니면 다른 것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구 반점’이라고 불렸던 이 반점은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사이 어느 시점에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NASA 주노 탐사선이 목성의 상징 대적점을 포착한 사진 (사진=유튜브 캡쳐)

현재 대적점에 대해 확실한 것은 대적점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1879년 관측 시 가장 긴 축이 3만9천km에 달했던 대적점은 지금 4천km에 불과하다. 연구진은 지금의 대적점이 결국 카시니가 처음 발견한 영구 반점처럼 사라지고 아마도 몇 세기 이후에 새로운 소용돌이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목성 대적점은 태양계에서 알려진 가장 큰 폭풍으로, 목성 지름의 6분의 1을 차지한다. 지구 상의 허리케인과 달리 대적반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여러 개의 작은 소용돌이가 합쳐져 거대한 슈퍼폭풍으로 인해 형성되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