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규환 살해 현장… 가자의 죽음을 보았다

송은아 2024. 6. 22. 06: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작가 겸 기자 종군기
85일 머물며 이스라엘 공격 증언
사람 비명 위로 폭격 잔해 날리고
가족·친구·동료 죽음 눈앞서 목격
현지 참상 언론·국제기구 침묵 비판

집단학살 일기: 가자에서 보낸 85일/ 아테프 아부 사이프/ 백소하 옮김/ 두번째테제/ 2만2000원

지난해 11월5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북부에 있던 작가 아테프 아부 사이프는 오랜 친구 파크리가 길 건너는 모습을 봤다. 얘기 좀 하자고 불러 세웠다. 친구는 화장실부터 다녀오겠다고 했다. 두 남자의 생사가 갈린 순간이었다.

“갑자기 우레 같은 압도적인 충격과 함께 내 앞에서 미사일이 터졌다. 불이 벽처럼 날 밀어냈고 연기가 그 뒤를 따라 나왔다. … 건물 다섯 채가 완전히 초토화되었다. 잔해 아래 사람이 있다고 누군가 소리쳤다. … 오싹하게도 거기 누워 있는 건 파크리였다.”
공습으로 파괴된 가자지구에서 사람들이 잔해를 수색하는 동안 한 팔레스타인 소년이 폐허 위에 앉아 있다. 가자지구=AFP연합뉴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발발한 지 서른번 째 날이었다. 이날 친구의 죽음은 사이프가 가자지구에서 목격한 수많은 비극의 일부였다. 팔레스타인 작가이자 기자인 사이프는 전쟁 첫날부터 85일간 가자지구에 머물며 참상을 몸으로 겪었다. 그는 텔레그램 등을 통해 현장을 기록했다. 그의 일기는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르몽드, 가디언, 슈피겔 등에 실리며 전쟁의 참혹함을 세계에 알렸다. 신간 ‘집단학살 일기’는 이 85일의 기록을 묶은 책이다.

전쟁 첫날 그는 바다에서 수영 중이었다. 아무런 경고 없이 로켓 소리와 폭발음이 사방에서 들렸다. ‘매일 하는 훈련이겠지, 한 두 시간 그러겠네’ 생각했다.

이후 매일 같이 폭격이 이어졌다. 넷째 날 기자들이 일하는 프레스 하우스와 호텔에서도 그랬다. “공습이 시작되자 첫 번째 폭발로 호텔에 있는 모든 것이 공중으로 1m는 떠올랐다. 잔해가 우리 머리 위로 날아다녔다. … 큰 콘크리트 조각이 천장에서 바닥으로, 내가 서 있던 곳으로 내리꽂혔다. … 주변에서는 비명이 울음소리로 바뀌었다.”
아테프 아부 사이프/ 백소하 옮김/ 두번째테제/ 2만2000원
이날 그는 양쪽으로 끝없이 늘어선 돌무더기를 빠른 걸음으로 지나면서 “마치 제2차 세계대전을 찍은 흑백 영상 같았다”고 적었다.

저자는 매일 수십, 수백명의 죽음을 보거나 전해 들었다. 그의 처제 가족도 몰살되다시피 했다. 미사일 공습 현장에서 처제 부부와 손녀가 숨진 채 발견됐고, 유일하게 살아남은 그의 조카딸은 두 다리와 한 손을 잃었다. 사촌은 공습으로 숨졌고, 어제까지 본 동료기자를 병원 바닥에 무더기로 놓인 시신 사이에서 발견했다. 병원 정문에 서 있다 7, 8m 떨어진 곳에 미사일이 떨어져 16명이 숨지기도 했다. 그는 “우리 삶은 그저 폭격, 포격, 파괴, 죽음의 무한 연쇄”라고 했다.

살아남은 이들에게 삶은 고행이었다. 부상당한 이들은 병원에서 마취제도 없이 수술해야 했다. 숨진 이들을 수습하고 장례를 치르기도 어려웠다. 폐허가 된 거리에서 손으로 잔해를 치우고 사망자를 찾는 건 불가능에 가까웠다. 저자는 친척 여덟 명의 시신이 빨리 수습된 데 대해 ‘행운’이라고 표현했다. “며칠이고 몇 주고 시신이 수습되길 기다리며 아직도 폐허 아래서 끝없이 마지막 순간을 몇 번이고 반복하리라고 상상하지 않아도 된다면, 그 가족은 ‘행운’”이라고 적었다. 미사일에 몸이 조각나도 시신 확인을 할 수 있도록 아이들은 손발에 자기 이름을 써두기도 했다.

식량과 물이 부족했다. 보름이 지나자 빵을 구하려면 2∼5시간은 줄을 서야 했고, 식수를 얻기 어려웠다. 한 달이 지나자 빵을 얻으려면 일곱 시간 넘게 걸렸다.

이스라엘 지상군이 가자지구 북부에 진입하자 저자는 남부 난민촌으로 떠난다. 그는 가자지구에 온 이스라엘군에 대해 “그들의 목표는 가자 지구 전체의 인종청소다. 이 지역에 와서 ‘2006년에 하마스에 투표한 게 누구냐?’라든가 ‘누가 하마스한테 투표할 것 같냐’고 묻고 청소하는 게 아니다”라고 꼬집는다. 이스라엘에 장악된 가자지구는 “비현실적인 야외 영안실, 아니면 살해 현장 같았다”고 묘사한다.

난민촌에서는 천막 하나로 추위와 더위를 견뎌야 했다. 삶의 뿌리가 통째로 뽑혀버린 생활은 상상하기 힘든 상실감을 안겼다. 전쟁 발발 72번째 날인 지난해 12월17일 저자는 “가자는 버려졌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 우리는 매일 새로운 학살로 수십 명이 죽었다고, 민간인이 살해당했다고 소식을 듣는데 누구 하나 보도조차 하지 않는다”고 탄식한다. 그러면서 “북부를 절대 떠나지 말았어야 할 두 집단, 기자들과 국제기구가 이 지역을 가장 먼저 떠났다”고 비판한다.

가자지구의 참상은 최근만의 일이 아니다. 저자는 전쟁 첫날 친구에게 “여태껏, 75년이 넘게 (가자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었던 거냐고 묻는 게 제대로 된 질문”이라고 말한다.

가자지구의 비극에 대해 그는 올해 3월 이탈리아어판 편집자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유럽 중심 국제질서의 희생자다. 유럽이 벌인 실수의 역사에 대한 대가를 우리가 치르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러면서 “우리는 홀로코스트에 가담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그게 우리 탓이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8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대가를 치러야 하는 건 안타깝게도 우리”라고 말한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