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프리즘] 빌라왕 2탄은 아파트왕?
■
「 ‘깡통전세 아파트’ 지방 중심 확산
전세가율 확인 꼼꼼히, 보험 가입도
」
실제 최근 전세가율이 상승하면서 전국적으로 깡통전세 위험이 커졌다. 특히 연립·다세대보다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가율이 올라가고 있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전세 수요가 아파트로 옮겨간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달 일부지역의 아파트와 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주택매매가격에 대비한 전세가격의 비율)이 80~90%를 넘어서자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며 임차인들에게 주의보를 내렸다. 이 지역의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최근 1년 72.3%에서 최근 3개월 68.9%로 소폭 하향했으나, 아파트 전세가율은 최근 3개월 67.2%(최근 1년 65.2%)로 상승했다. 특히 이천시 83.1%(최근 1년 79.9%), 여주시 82.1%(최근 1년 76.8%) 등은 80%를 넘어섰다. 통상 전세가율이 100% 이상이면 깡통전세, 80% 이상이면 깡통전세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지역의 상황도 대체로 유사하다. 5월 기준, 전남 지역 연립·다세대의 최근 3개월 전세가율 69.7%로 최근 1년 77.9%에서 하락했으나, 아파트는 77.3%에서 81.2%로 상승했다. 전북 아파트도 80%에서 82.4%로 올라갔다.
최근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이 ‘제2의 빌라왕 사태’로 번질지는 알 수 없다. 지방 주택의 높은 전세가율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고, 시장에선 “수도권의 빌라왕 사태처럼, 지방 아파트를 수백 채씩 매입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포착되는 것도 아니다”(정민하 부동산지인 대표)는 전언이 나온다. 문제는 빌라왕 사태로 온 나라가 들썩였음에도 깡통전세 규모는 공식적인 통계 부재의 ‘블랙홀’과 같다는 것이다.
현재 지역별 전세가율은 매주 발표되고 있지만, 전국 주택 가운데 깡통전세가 발생한 곳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는 찾기 어렵다. 깡통전세에 대한 안전장치 역시 미흡하다. 임대인의 다주택 보유 여부와 연체 상황 등 세입자가 거래 시 확인할 지표는 여전히 깜깜이 상태다.
전세난일수록 돌다리도 다시 한번 두드리자. 전세가율을 꼼꼼히 챙기고, 전세 보증보험 가입도 필요하다. “빌라는 위험하고 아파트는 안전한 것이 아니다. 전세가율이 80% 넘어가면 아파트든 빌라든 언제 사고가 나도 이상하지 않은 잠재 위험 상태라고 봐야 한다.”(김인만 부동산연구소 소장)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위험은 현재 진행형이다.
배현정 경제선임기자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