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혼내주자” 24년전 남한 패싱, 이번에 또 뒤통수…푸틴의 길들이기 외교 [필동정담]

김병호 기자(jerome@mk.co.kr) 2024. 6. 21. 13: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소련과 러시아 정상을 통틀어 평양을 방문한 유일한 최고지도자다.

2000년 6월 이정빈 외교통상부장관은 러시아에 갔지만 방북 준비에 바쁜 푸틴을 만나지 못했다.

지금도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윤석열 대통령과 푸틴은 일체 회동이 없는 반면 러북 정상은 작년과 올해 두 번이나 만났다.

24년 전 방북 때 푸틴은 정보요원 출신의 '외교 애송이'였지만 세월이 흘러 이젠 '외교 달인'이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소련과 러시아 정상을 통틀어 평양을 방문한 유일한 최고지도자다. 더욱이 19일 방북은 2000년 7월에 이어 두 번째다. 냉전 시절 ‘공산주의 맏형’을 자처한 소련의 공산당 서기장들이 한참 아래 뻘인 북한까지 갈 이유는 없었다. 동유럽 각국에서 반소(反蘇) 민주화 운동이 분출하는 마당에 자리를 비우기도 힘들었다. 대신 1970년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루머니아). 에리히 호네커(동독), 요시프 브로즈 티토(유고) 같은 동유럽 정상들이 평양에 가서 김일성을 만났다. 소련 사주 하에 공산국가 결속을 대외에 과시하는 측면이 있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00년 7월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난 모습. 연합뉴스
그러다가 김정일 시대 들어 푸틴은 대선을 거쳐 2000년 5월 공식 집권한지 2개월 만에 방북이라는 초강수를 뒀다. 중국을 거쳐 평양에 간 뒤 일본 오키나와 G8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일정이었다. 푸틴 동선에 한국이 빠진데 대해 한국 정부는 충격이 컸다. 당시 북한은 푸틴 초청을 위해 크게 노력한 것도 아니었다. 소련 붕괴 직전 동독 드레스덴에서 국가보안위원회(KGB) 요원으로 근무한 푸틴은 공산주의에 대한 향수가 강했다. 이로 인해 냉전 종식 후에도 공산주의 체제를 유지하던 북한에 대한 관심과 경외심이 있었다.

더욱이 러시아인들은 북한의 극한 반발 속에 어렵게 수교한 한국이 1990년대 망가진 러시아를 무시하고 경제 지원에 소극적인데 대해 불만이 컸다. 한국을 혼내주자는 분위기는 옐친 2기 집권기인 1990년대 중반부터 있었지만 술독에 빠져 일을 제대로 못한 보리스 옐친은 반한(反韓) 외교를 적극 가동하지 못했다. 푸틴의 첫 방북은 그렇게 이뤄졌다. 김정은과 만나 예전처럼 유사시 군사 개입까지는 아니지만 상대국에 침략 위기 발생시 즉각 접촉한다는 내용으로 안보 협력의 끈을 복원했다. 이후 김정일은 2001년과 2002년 모스크바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연속 답방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푸틴 집권 초기 러시아에 맥을 못췄다. 2000년 6월 이정빈 외교통상부장관은 러시아에 갔지만 방북 준비에 바쁜 푸틴을 만나지 못했다. 지난 1월 방러한 최선희 북한 외무상처럼 특정 국가 외교장관은 푸틴과의 만남이 가능한데 당시 한국은 제외됐다. 같은해 10월 이한동 국무총리는 푸틴과 면담을 요청하고 크렘린 광장 주변을 배회했지만 끝내 실패했다. “바빠서 어렵다”는 답변이 뒤늦게 왔다. 대통령이 총리를 만나는 게 격이 안 맞는다는 이유였지만 몽니이거나 핑계라는 해석이 많았다. 푸틴의 ‘한국 길들이기’에 우리는 그런 수모를 겪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새벽 북한 평양에 도착해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연합뉴스/평양 조선중앙통신]
지금도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윤석열 대통령과 푸틴은 일체 회동이 없는 반면 러북 정상은 작년과 올해 두 번이나 만났다. 물론 전쟁만 없었다면 러시아가 북한과 밀월할 일은 없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어쩌면 북한은 종전 후 토사구팽(兎死狗烹) 될지 모른다. 푸틴은 탄약 지원에 대한 감사와 함께 ‘국제 왕따국’ 간 연대를 위해 고민 끝에 북한에 갔지만 한국도 나름 중시한다. 푸틴이 지난 5일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직접 제공하지 않은 우리나라에 감사와 함께 관계 개선 의지를 피력한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러나 2주일 뒤 푸틴 방북에서 북·러 간 유사 시 상호 군사원조 제공과 고도화된 군사기술 협력이 발표됐다. 설마 했다가 허를 찔렸다. 24년 전 방북 때 푸틴은 정보요원 출신의 ‘외교 애송이’였지만 세월이 흘러 이젠 ‘외교 달인’이 됐다. 그만큼 우리를 대하는 푸틴의 강온 전략을 쉽게 봐선 안된다.

김병호 논설위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