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성보험 5년만에 400만건대로 '뚝'…'해상보험' 지고 이 보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기업성보험(일반보험) 가입이 5년 만에 400만건대로 뒷걸음질쳤다.
해운업계가 다시 침체기에 빠지면서 기업성보험 가입 대부분을 차지하는 해상보험이 둔화한 영향이다.
"둔화한 가입건수에도 보험료를 올려 전체 매출은 좋아졌지만, 해상보험은 리스크 헤지(위험회피) 자체가 어렵다"며 "이미 기업성보험을 해상보험이 주도하던 시기가 끝나 앞으로 해상보험 시장은 점점 위축될 것"이라는 게 손보사 관계자들의 얘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 등 배상책임보험에 눈 돌리는 손보사들
지난해 기업성보험(일반보험) 가입이 5년 만에 400만건대로 뒷걸음질쳤다. 해운업계가 다시 침체기에 빠지면서 기업성보험 가입 대부분을 차지하는 해상보험이 둔화한 영향이다.
이와 반대로 매출(원수보험료)은 우상향을 지속하고 있는데, 손해율이 상승하면서 손해보험사들이 보험요율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성보험 가입(신계약)건수는 486만101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537만982건 대비 9.5%(51만881건) 감소한 수치로, 2년 연속 하락세가 이어졌다. 보험가입이 400만건대로 후퇴한 건 지난 2018년 439만5762건 이후 5년 만이다. 기업의 위험을 보장하는 기업성보험은 1년짜리 화재보험(주택제외), 해상보험, 배상책임보험 등이 주를 이룬다.
기업성보험 가입이 줄어든 건 건수 기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해상보험 가입이 둔화한 탓이다. 해상보험은 선박의 선체나 운항, 화물운송 등의 위험을 대비해 가입하는 보험으로 적하·선박·운송보험 등을 취급한다. 작년 해상보험 신계약은 245만4430건으로 전년 대비 17.7%(52만9534건)나 쪼그라들었다. 2년 연속 하락세다.
계약 건이 줄어든 반면 매출은 상승추세다. 지난해 손보사들이 해상보험에서 거둬들인 원수보험료는 9569억9800만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9.3%(822억1400만원) 증가했다. 단순 계산하면 계약 1건당 보험료가 약 39만원 수준으로, 전년보다 10만원이나 올랐다. 이에 따른 전체적인 기업성보험 매출도 상승 흐름이다. 지난해에만 전년 대비 8.2%(4363억3400만원) 증가한 5조7217억원을 벌어들였다.
특히 해상보험 원수보험료는 계약건수 부침에 상관없이 2018년(5908억7400만원) 이후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손보사들은 해상보험 손해율을 지목한다. 해상보험의 경우 한 번 사고가 나면 받은 보험료 대비 보상해줘야 할 보험금의 규모가 커 손해율이 높은 시장이다.
"둔화한 가입건수에도 보험료를 올려 전체 매출은 좋아졌지만, 해상보험은 리스크 헤지(위험회피) 자체가 어렵다"며 "이미 기업성보험을 해상보험이 주도하던 시기가 끝나 앞으로 해상보험 시장은 점점 위축될 것"이라는 게 손보사 관계자들의 얘기다.
코로나19 특수가 끝나고 글로벌 화물량이 줄면서 다시 비수기에 들어간 해운업계가 예멘 후티 반군의 민간 선박 공격, 이스라엘·이란 충돌 등으로 올해 다시 살아나고 있다. 실제 전 세계 컨테이너 운임료 추이를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올해 3000포인트대로 다시 올라왔다. 해운업계는 SCFI 1000포인트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관련기사 :치솟는 해상운임에 물류대란 악몽 재현되나(6월21일)
당초 해운업은 저점→회복→고점→붕괴 등 경기 순환 주기에 따른 뚜렷한 변동성이 있는 시장이었다. 하지만 이번 성수기는 돌발 변수에 따른 것이라 가입 건과 인수 자체를 예상하기 어려워졌다.
이미 손보사들도 새 시장인 배상책임보험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배상책임보험은 2년 연속 계약건수와 원수보험료가 오르막이다. 지난해에는 원수보험료와 계약건수가 전년 대비 각각 1%, 3.5% 증가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사회구조가 복잡해지면서 환경책임보험 등 배상책임보험에 대한 업계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김희정 (khj@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년간 배당만 1240억'…메가커피, 농심·오리온도 제쳤다
- "전투기 전문 아니었어?" 500조 민항기 시장 주름잡는 KAI
- 새 판 짜는 SK…'최재원 역할론' 무게 실리는 이유
- 백종원 '연돈볼카츠' 점주들 "대다수 매장 폐점 혹은 적자"
- 바이오 대기업, 송도로 속속 집결
- 고개 숙인 최태원 "이혼 상고 결정…2심 오류 발견"
- [청기홍기]"동해 가스 없어도 매력적"…가스공사 목표가 상향
- 야놀자, 나스닥 입성 '무엇으로' 성공할까
- [공모주달력]삼성서울병원 교수가 만든 '이엔셀' 수요예측
- 직접 나선 최태원 "국민께 사과…법원 판결에 치명적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