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극명한 냉전 회귀”···가치 연대와 외교력으로 평화·번영 추구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냉전 종식 이후 폐기했던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을 사실상 부활시킨 것은 '냉전으로의 가장 극명한 회귀'를 알린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북러 밀착에 거리를 두는 중국이 북한 비핵화를 위한 '건설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득하고 경제적 실리를 앞세워 러시아를 포섭해 반미 연대의 고리를 약화시키는 데 외교력을 집중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냉전 종식 이후 폐기했던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을 사실상 부활시킨 것은 ‘냉전으로의 가장 극명한 회귀’를 알린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러시아와 중국이 북핵 문제만큼은 미국과 공조하던 시대는 끝났다”며 이같이 논평했다. 20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4조는 ‘어느 일방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지체 없이 모든 수단으로 군사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명시했다. 1961년 북한과 소련이 체결했다가 1996년 폐기한 ‘조소 우호 협조 및 상호원조 조약’ 1조와 거의 동일한 내용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핵·미사일 등 첨단 군사기술 이전 가능성도 시사했다.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자유주의 국제 질서에 정면 도전한 푸틴 대통령은 북한·중국·이란 등 반미(反美) 우방과의 연대를 강화하며 글로벌 신냉전 대립 구도를 고착화하고 있다. 특히 전략적 이해관계가 가장 맞아떨어지는 북한과는 노골적으로 군사 밀착에 나섰다. 러시아를 군사적 ‘뒷배’로 두게 된 북한이 핵·미사일 기술까지 전수받아 무모한 군사 도발을 감행하고 국제 질서를 위협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제적으로도 러시아의 에너지 지원과 교역 확대로 대북 제재를 무력화할 수 있다.
북러 ‘초밀착’으로 한반도는 신냉전의 최전선이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복원된 북러 동맹과 굳건한 한미일 연대가 팽팽히 맞서는 대립 구도는 한반도와 세계 평화 질서를 크게 위협하는 요인이다. 신냉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가 평화와 경제적 번영을 추구하려면 치밀한 안보 전략을 수립해 실천하고 정교한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래야 고조되는 지정학적 위기에서도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자유 진영과의 결속을 강화해 안보 위협에 맞서고 북러 간 ‘위험한 거래’를 차단하기 위해 촘촘한 국제 제재를 주도하는 것은 기본이다. 북러 밀착이 북중러 결속 강화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것도 중요하다. 북러 밀착에 거리를 두는 중국이 북한 비핵화를 위한 ‘건설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득하고 경제적 실리를 앞세워 러시아를 포섭해 반미 연대의 고리를 약화시키는 데 외교력을 집중해야 한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심야 최고위 회의 연 민주당…'이재명 사퇴 시점 이야기 안했다'
- 경찰, 한동훈 딸 ‘허위스펙’ 재수사 않기로…무혐의 결론
- '아빠의 신부가 되고 싶어' 日 어린 딸과 웨딩촬영 이벤트 '갑론을박'
- 사막에서도 물을 만들어내는 항아리
- 다리 위에 놓인 성범죄자의 '신발', 투신? CCTV로 드러난 충격적 진실
- '선재도 없는데 굳이?'…가격 올려도 굳건한 OTT 때문에 결국
- 술 마셨을 뿐인데…17명 사망하고 191명도 병원행 무슨 일?
- 중국인 남성 수상해 소지품 검사하니 '이것'이…무려 400마리가 '꿈틀꿈틀'
- '명동에 태국 관광객 왜 없나 했더니'…입국불허 논란에 반한 감정 커져
- '썩은 살에 구더기 바글바글'…눈뜨고 볼 수 없던 '리트리버' 지금 상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