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인을 그리며[이준식의 한시 한 수]〈269〉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2024. 6. 20. 22: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명산에 자칭 광객(狂客)이 있었으니, 풍류로 이름난 하계진(賀季眞)이지.

장안에서 처음 만났을 때, 나를 '하늘에서 쫓겨난 신선'이라 불러주었지.

객지를 유람하다 갓 장안에 온 마흔 초반의 이백, 하지장과의 첫 대면에서 그는 장편시 '촉으로 가는 험난한 길(촉도난·蜀道難)'을 선보였다.

특유의 기발한 상상력과 과장법을 동원하여 촉 지방의 험난한 지형과 인생살이의 고달픔을 대비적으로 묘사한 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명산에 자칭 광객(狂客)이 있었으니, 풍류로 이름난 하계진(賀季眞)이지.
장안에서 처음 만났을 때, 나를 ‘하늘에서 쫓겨난 신선’이라 불러주었지.
그 옛날 그리도 술 좋아하시더니, 이제 소나무 아래 흙으로 돌아갔네.
금 장식 거북으로 술 바꿔 마시던 곳, 그 추억에 눈물이 수건을 적시네.
(四明有狂客, 風流賀季眞. 長安一相見, 呼我謫仙人. 昔好杯中物, 今爲松下塵. 金龜換酒處, 却憶淚沾巾.)


―‘술을 앞에 놓고 하 대감을 그리다(대주억하감·對酒憶賀監)’

하지장은 이백이 벼슬길에 드는 데 직접 도움을 주었고 최초로 ‘시선(詩仙)’이란 영예도 부여했던 지음(知音). 술을 마주한 시인은 지금 그 고마운 인연을 되씹고 있다. 객지를 유람하다 갓 장안에 온 마흔 초반의 이백, 하지장과의 첫 대면에서 그는 장편시 ‘촉으로 가는 험난한 길(촉도난·蜀道難)’을 선보였다. 특유의 기발한 상상력과 과장법을 동원하여 촉 지방의 험난한 지형과 인생살이의 고달픔을 대비적으로 묘사한 시다. 이 시를 읽으며 하지장은 연거푸 찬사를 쏟아냈고 ‘하늘에서 쫓겨난 신선’이라고까지 치켜세웠다. 뿐인가. 그 길로 이백을 술집으로 데리고 갔는데, 술값이 없자 ‘금 장식 거북’을 풀었다. 3품 이상 관리가 패용하는 신분 표지물이었다. 벼슬 없는 신출내기 선비가 마흔둘이나 많은 고관대작으로부터 이런 극찬과 술대접을 받았으니 그 감개가 오죽했으랴.

50년 이상 관직에 있으면서도 소탈하고 풍류를 즐겨 스스로 ‘사명광객(四明狂客)’이란 호를 썼던 하지장, 계진은 그의 자. 옛 선비들은 상대방의 이름 대신 자나 관직명을 부르는 걸 예법으로 여겼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