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피해 미국을 떠난 화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어머니는 흑인 노예였다고 한다.
미술 학교를 졸업한 다음에는 흑인 화가라며 차별을 받았다.
한편 태너 스스로는 자신을 흑인 화가로 규정짓는 일을 거부했다.
태너가 오늘날 기억되는 까닭은 국제적으로 성공한 최초의 흑인 화가였던 이유가 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역사다] 헨리 오사와 태너 (1859~1937)
어머니는 흑인 노예였다고 한다. 목숨 걸고 탈출하여 자유로운 시민이 됐다. 아버지는 흑인 교회의 성직자였다. 헨리 오사와 태너는 1859년 6월21일에 미국에서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미술 학교에 갔는데 흑인 학생을 도제로 받아주는 백인 선생님을 찾기 힘들었다. 미술 학교를 졸업한 다음에는 흑인 화가라며 차별을 받았다. 미국에서 더는 못 살고 1891년에 프랑스로 건너갔다.
프랑스에 정착해 그린 초기 작품은 미국 흑인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그린 그림이었다. 푸른색을 듬뿍 썼는데도 그림은 따뜻하다. 1893년에 그린 ‘밴조 수업’은 할아버지가 손주를 무릎에 앉히고 밴조 타는 법을 가르쳐주는 작품이다. 밴조는 흑인이 즐겨 연주하던 악기. 1894년에는 ‘가난한 사람의 감사 기도’를 그렸다. 흑인 노인과 소년이 조촐한 식탁에 앉아 감사 기도를 드리는 그림.
1890년대 후반부터 종교화를 많이 그렸다. 1896년에 그린 ‘나사로의 부활’로 프랑스 미술계의 인정을 받았다. 그때는 종교화와 역사화가 인정받던 시대였다. 1898년 작품 ‘수태고지’는 태너의 대표작. 빛과 어둠의 대비가 종교적인 감동을 준다.
20세기에는 상징주의 사조를 받아들였다. ‘무언가 말하는 듯한데 무슨 말을 하는지는 정확히 모를’ 알쏭달쏭한 그림이 상징주의 회화다. 1919년에 그린 푸른빛의 ‘개선문’ 그림은 신비롭다. 1차 대전 때 죽은 프랑스 군인을 추모하는 작품이다. 1923년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초기에는 흑인의 삶을 많이 그렸다. 나중에는 성서를 소재로 그림을 그리며 작품에 흑인이 줄었다. 성서에 흑인이 좀처럼 나오지 않아서일까. 한편 태너 스스로는 자신을 흑인 화가로 규정짓는 일을 거부했다. 인종을 초월하여 인간 보편의 가치를 탐구하는 화가가 되려고 했다. 종교화와 역사화와 상징주의 회화를 많이 그린 것도 그래서다. 그런데 미술의 이쪽 흐름은 20세기를 지나며 잊혔다. 태너가 오늘날 기억되는 까닭은 국제적으로 성공한 최초의 흑인 화가였던 이유가 크다.
김태권 만화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정부, ‘우크라 살상무기 지원 가능성’ 언급하며 러시아 압박
- 디올백에 가려진 스모킹건, 김건희 여사와 관저 공사
- ‘윤석열 검증보도’ 김만배·신학림, 수사 9개월 만에 구속
- 한동훈, 윤 대통령과 통화…“이기는 정당 만들겠다” 출마 결심 전해
- 검찰 “최은순도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수사 대상”
- 사과 없던 ‘얼차려 사망’ 중대장, 구속영장 청구날 유족에 연락
- 서울 역삼동 아파트 화재…5개월·11개월 아기 병원 이송
- 하루에 물 1300t 빨아가는 생수공장…“좀 보소, 집엔 흙탕물뿐”
- “김건희 논문 검증” 약속 교수, 숙명여대 새 총장 됐다
- 점주 신고당한 백종원, 공정위에 ‘맞신고’…“무고 이미지 포장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