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허브도시 도약하는 부산, 두바이에서 길을 찾다

오성택 2024. 6. 20. 16:2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부산항 개항 150주년을 맞는 부산시가 항만과 공항, 철도를 결합한 트라이포트(Tri-Port·육해공 복합수송체계)를 토대로 세계 물류 중심 ‘글로벌 허브도시’로 거듭난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지난 10일부터 3박5일간의 일정으로 ‘글로벌 허브도시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두바이로 파견해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했다.

두바이 금융의 심장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
20일 부산시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UAE) 최대 도시 두바이는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인구 3만5000여 명의 작은 어촌마을에 불과했으나, 지금은 중동의 금융과 관광 중심지로 변모했다. 불모의 모래땅이 인구 355만 명의 세계적인 도시로 탈바꿈 하는데 50년도 채 걸리지 않았다. 

부산시는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해 ‘무에서 유’를 창조한 두바이인들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해 물류·관광 등 다양한 개발 사업에 접목한다는 계획이다. 추진단은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를 가장 먼저 찾았다. DIFC는 두바이 금융의 심장으로, 세계 각국의 금융기관 및 기업들이 집적해 있는 대규모 금융지구다. 2004년 설립돼 두바이 금융시장을 혁신하고, 두바이를 국제적인 경제 허브로 성장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아랍에미리트(UAE) 항공 무역의 거점 두바이 공항 프리존(DAFZA)
이곳엔 4만2000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입주 기업을 상대로 금융과 보험, 핀테크, 법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알야 후세인 알자루니(Alya Hussain AlZarouni) DIFC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외국기업에 면세(No Tax)를 비롯한 각종 기업 우대 정책과 직원 채용 및 기업 운영에 자율권을 부여하는 등 두바이만의 독특한 ‘에코시스템’이 DIFC의 성공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활성화를 위해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가 절실한 부산시로서는 입주 기업에 대한 면세와 같은 혁신적인 정책이 뒷받침돼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부산시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추진단은 이어 두바이 항구와 공항을 경제자유구역(Free Zone)으로 지정하고, 입주기업의 자유로운 외환거래와 무제한 환전, 관세·법인세 면제, 사무실과 공장부지 제공 등 다양한 경제 권한을 제공하는 제벨알리 프리존(JAFZA)과 두바이공항 프리존(DAFZA)을 방문했다.

두바이와 UAE의 미래를 모색하는 두바이 미래박물관
JAFZA는 1984년 중동 최초로 항만배후지역에 지정된 프리존으로, 두바이 해상물류무역의 중심이다. 현재 68㎢에 이르는 항만과 자유구역에 13만5000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전체 물동량은 5만9000TEU에 이른다. DP월드가 운영하는 이곳은 세계에서 유일한 동일 권역 내 항만·항공·철도를 연결하는 트라이포트 기반 물류 및 제조기능을 수행하는 프리존이다. 1996년에 설립된 DAFZA는 두바이 국제공항 주변에 위치한 프리존으로 현재 2만8000여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UAE 항공 무역의 거점으로, 전기·전자, 소비재, 엔지니어링·건축자재, 항공물류 등이 주요 산업군이다.

부산은 2029년 가덕도신공항 개항과 동시에 신공항 배후에 대규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해 외국 기업의 투자를 유치할 방침이다. 김다운 부산시 기획담당관은 “세계 2위 환적항인 부산은 물류허브로 거듭나기 위한 충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면서도 “파격적인 세제지원과 규제완화 등 제도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경은 부산시 정무특보(왼쪽)가 칼판 벨홀(H.E Khalfan Bblhoul) 두바이 미래재단 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부산시 제공 
추진단은 두바이 미래재단을 통해 100년 뒤 부산의 모습을 미리 그렸다. 두바이 미래재단은 두바이와 UAE의 미래를 모색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과 기술 지원, 교육 역량을 강화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칼판 벨홀(H.E Khalfan Bblhoul) 두바이 미래재단 대표는 “지난 20여 년 간 금융과 물류 허브가 두바이를 발전시켰다면 미래는 로봇과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디지털경제 등 과학기술이 이끌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랍 젊은이들 사이에 ‘가장 살고 싶은 도시’라는 두바이와 한국(부산)의 공통점은 특별한 자원 없이 강력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짧은 시간에 고도성장을 이뤄냈고, 성장의 중심에 항만과 공항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특히 두바이는 아랍에서는 드물게 석유가 나지 않는다. 대신 대규모 해외 자본을 유치해 관광과 유통·물류산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추진단을 이끈 박경은 부산시 정무특별보좌관은 “세계 주요 도시와 국가들은 글로벌 허브가 되기 위해 치열한 무한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부산은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이 제정되면 세계 선진 허브도시와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강조했다.

두바이=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