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소형원전 지하 40m에 건설…방사능 유출 불가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에 대해 일부에서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자 대구시가 "방사능 물질의 외부 유출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종헌 대구시 정책특보는 20일 "SMR 원자로 용기는 지하 40m에 설치되고, 지하 10m 지점에 격납용기가 들어서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대구시의 SMR 건설 추진에 대해 일부 환경단체 등은 "안전성과 경제성이 검증되지 않아 아직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며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뉴스1) 이재춘 기자 =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에 대해 일부에서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자 대구시가 "방사능 물질의 외부 유출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종헌 대구시 정책특보는 20일 "SMR 원자로 용기는 지하 40m에 설치되고, 지하 10m 지점에 격납용기가 들어서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또 "SMR은 일반원전처럼 1차와 2차 냉각수가 별도의 계통으로 유동돼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구조"라며 "실시설계 때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하고 3차 냉각수까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시는 기업에 값싼 전력을 공급하고 반도체, 수소, 데이터 센터 등 첨산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군위군 신공항 첨단산업단지에 170㎿(메가와트)급 4개 모듈, 총 680㎿의 SMR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SMR은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 한수원, 원자력연구원, 두산에너빌리티, 포스코이앤씨 등이 3992억 원을 투입해 개발 중이다.
대구시의 SMR 건설 추진에 대해 일부 환경단체 등은 "안전성과 경제성이 검증되지 않아 아직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며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leajc@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세입자 줄 전세금 1.8억 주식으로 날려…월급으로 조금씩 줘도 될까요"
- "남편이 성관계 영상 찍어 모았더라, 교복 입은 여성도…두 딸 걱정돼 이혼 고민"
- 부동산 1타 강사, 아내에 피살…"믿을 수 없어, 반겨주던 웃음" 제자들 애통
- 사람 구하려 문 부순 소방관에 '500만원 청구서'…"대신 내겠다" 봇물
- "경적 안 울렸는데 차 앞에서 혼자 넘어진 할머니…내 과실 80%라는데"[영상]
- "사위 비뇨기과 수술도 시켜줬는데, 딸은 연락 두절" 암투병 엄마 눈물
- 채리나 "♥박용근, 흉기 찔려 99% 사망 진단" 결혼식 못한 이유 [RE:TV]
- 박준형 "방배동 70평 아파트 대출 없이 샀더니…김지혜가 결혼해 달라고"
- 최준희, 오빠 최환희와 다정샷 "울 엄마 아들씨, 동생이랑 런웨이 수고했어"
- '한지민 쌍둥이 역' 다운증후군 정은혜 작가, 5월 결혼 "나 좋다고 고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