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신뢰도 1위'에 눈 감은 언론재단..."언론 '장악 진흥' 재단인가"

노지민 기자 2024. 6. 20. 13: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체위 야당 간사 "언론 진흥 아닌 통제 노골적으로 이뤄져"
언론노조 "자기들 눈에만 보이지 않으면 사실이 증발하는가"

[미디어오늘 노지민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사진=미디어오늘.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국내 언론사 신뢰도 조사에서 MBC가 1위로 나타난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보고서 관련 자료를 내지 않으면서 '언론진흥재단이 아닌 언론통제재단'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임오경 의원은 19일 “우리나라의 언론자유지수가 하락하고, 여전히 신뢰도 1위가 MBC로 나오는 리포트가 불편하다고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이를 감추려 하는 것은 언론 '진흥'이 아닌 '통제'가 윤석열 정부에서 노골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자인하는 꼴”이라며 “투명하고 공정한 대한민국 뉴스 환경을 만들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언론재단은 매년 영국 옥스퍼드대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리포트' 연구에 참여하면서 보고서에 대한 보도자료 및 정기간행물, 보고서 번역본 등을 발간해왔다. 하지만 본지 취재에 따르면 올해에는 '조사 결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보도자료·간행물을 내지 않았고, 한국어판 보고서 발행도 불투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에 담긴 한국 언론 매체별 신뢰도는 MBC(57%)가 지난해에 이어 1위로 나타났고 YTN(56%), JTBC(55%), SBS(54%), KBS(51%) 순이다. 불신도는 조선일보(39%), TV조선(37%), 중앙일보·동아일보(32%) 순이었다.

언론재단은 지난해에도 MBC가 1위로 나타난 조사 결과를 들어낸 한국어판 보고서를 내 논란을 불렀다. 이에 임오경 의원이 지난해 문체위 국정감사에서 'MBC가 1위에 선정된 것이 국민께 알려지는 것이 싫었냐'고 추궁하자,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내년부터는 빼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올해에는 관련 보도자료조차 내지 않은 것이다.

임 의원은 올해 국경없는기자회 한국 언론자유지수가 180개 조사국 중 62위로 전년(47위)보다 15단계 하락한 것을 함께 지적하면서 “언론재단이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4'를 올해 발간하지 않는다면 문체부 장관의 당시 답변은 거짓이고 재단이 입맛에 맞춰 국민들에게 불리한 언론지수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임오경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 사진=임오경 의원실

전국언론노동조합도 20일 <김효재의 언론진흥재단은 언론 '장악 진흥' 재단인가> 제목의 성명을 내고 “무더기 압수수색과 고소, 방심위를 통한 법정 제재, 친정권 인사를 내리꽂은 '방송장악' 평가가 고스란히 수치로 드러나자, 어떻게든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급급한 재단의 행태가 애처롭기 짝이 없다”며 “언론 진흥이 아니라 '언론 탄압' 재단, '언론장악' 재단이라 불려도 더는 어색하지 않은 지경”이라고 했다.

언론노조는 “지극히 비상식적인 일련의 과정이 대통령실이나 정권 핵심의 외압에 재단이 굴복했든, 알아서 심기 경호에 나섰든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라며 “자기들 눈에만 보이지 않으면 사실이 증발하는가. 모래에 머리를 박은 타조 꼴 같은 윤석열 정권과 언론재단의 행태는 국민적 조롱의 대상이 될 뿐”이라고 했다.

이어 “언론진흥재단은 이렇게 뒤로는 언론 탄압의 객관적 증거들을 지우려 안간힘을 쓰면서, 앞으로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을 충실히 받아 언론인 해외연수 확대를 미끼로 던지면서 권언유착의 뇌물처럼 흔들어대고 있다”고 했다.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이 출입기자들과의 '김치찌개 만찬'에서 언론인 해외연수 규모를 “내년부터 세 자리로” 만들자고 주문했고, 언론재단은 지난 17일 내년 해외연수 선발 인원을 올해보다 100명가량 늘린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언론계를 향해 “해외연수 확대 따위의 어설픈 유화책으로 언론의 자유와 정치적 독립에 재갈을 물려보겠다는 윤석열 정권의 얕은 수를 배격하고 권력에 대한 엄중한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다해 주기 바란다”면서 “위태위태한 언론자유를 지키고, 추락하는 언론 신뢰를 회복하는 힘은 권력이 아니라 주권자인 국민에게서 나오는 것임을 한시도 잊지 말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