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버티는 힘에 관하여

김양균 기자 2024. 6. 20. 11: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거 일하던 회사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해 런칭한 적이 있었다.

드디어 첫 방송 녹화일.

'글을 못 쓴다'는 지적에 몹시 자존심이 상했던 나는 소위 '글빨'이 약하다고 생각해 시키지 않은 일을 자주 하곤 했다.

일반적으로 도전하라고 하지만 그 책임은 잘 이야기하지 않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양균 기자)과거 일하던 회사에서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해 런칭한 적이 있었다. 꽤 ‘마이너’한 주제여서 윗선은 기사나 쓰라며 달가워하지 않았다. 나는 대표를 찾아가 설득을 해가며 우여곡절 끝에 제작을 허락받았다.

드디어 첫 방송 녹화일. 회사 직원 상당수가 녹화 세트장에 찾아왔다. 응원을 위한 방문인 줄 알았지만 곧 알았다. 무얼 그리 대단한 걸 하려는지 어디 한번 보겠다며 팔짱 낀 이들이 대부분이었다. 그것은 어쩌면 살면서 받은 가장 큰 수모였지만, 기분 상해할 여유가 당시의 내게는 없었다.

예산을 아끼려고 출연자 물과 도시락을 사비를 털어 사고, 방송 작가를 고용할 여력도 없어 방송 대본도 직접 써야 했다. 녹화 때마다 출연자들을 달달 볶아가며 프로그램을 꾸역꾸역 만들었지만 예산 부족과 신통찮은 반응에 결국 프로그램은 흐지부지 폐지돼 버렸다.

이후 돌아온 것은 출연자들의 원망과 제작비 청구서였다. 뒷수습을 하느라 시커멓게 탄 속마음을 다스릴 사치를 부릴 여유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덴마크의 작가인 Camilla Wedelboe Monsrud가 'The Future is Present' 전시에서 선보인 '뭐가 문제야(What truly matters?)'라는 도발적 주제의 오브제. 감정을 유리병에 형상화한 오브제가 눈길을 끈다. (사진=김양균 기자)

이런 ‘삽질’의 시작은 신입 기자 시절의 경험 때문이다. ‘글을 못 쓴다’는 지적에 몹시 자존심이 상했던 나는 소위 ‘글빨’이 약하다고 생각해 시키지 않은 일을 자주 하곤 했다. 여러 저널리즘 기획과 실험들은 대체로 실패했고, 그때마다 뒷감당을 위한 청구서를 감당하는 것도 내 몫이었다.

물론 연이은 실패에 이어 더러 작은 성공을 경험하기도 했다. 작은 성취에 기뻐하다가도 다시 실패를 맛보면 더 쓰디쓴 패배감을 맛봐야 했다. 그랬다. 실패와 성공은 착 달라붙어 있고, 사람을 울게도 웃게도 만들더라. 그렇다보니 첫 녹화일에 받았던 감정에 익숙해져야만 했다.

처음 함께 기자를 하자며 의기투합했던 이들 중 지금도 현업에 남은 이들은 거의 없다. 청운의 꿈으로 세상을 바꾸겠다는 젊은 기자들의 야심은 시간이 흐를수록 깎이고, 깨어져 남루하게 빛이 바랐던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떨어졌던’ 내가 지금껏 기자밥을 먹고 있는 이유는 바로 수모를 버텨내는 힘 때문이 아니었나 싶다.

일반적으로 도전하라고 하지만 그 책임은 잘 이야기하지 않는다. 도전은 빛나지만 도전의 실패가 가져올 쓰디쓴 책임과 이를 감당해내려는 태도는 말하지 않는다. 도전과 책임을 가능케 하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수모를 견디는 힘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김양균 기자(angel@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