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노인 일자리, 사회참여와 빈곤해소의 열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행히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서서히 개선되고 있다.
노인일자리사업 급여는 기초연금 수급자에게 부가적 소득인데,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분석 결과(2021)에서 10.2%포인트 빈곤 감소 효과가 나타나 참여자의 복지를 강화하는 순기능이 있다.
노후소득보장 제도와의 보완적 관계에서 노인빈곤율 감소 목표에 초점을 두고 참여자의 근무환경과 급여 조건을 단계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서서히 개선되고 있다. 조세 및 사회보험료를 제외한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상대빈곤율은 38.1%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노인빈곤이 심각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전체 빈곤율(14.9%)보다 2.6배 정도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보고서(pensions at a glance 2023)에는 회원국 평균의 3배 정도 가난한 노인이 많은 국가로 예시되었다.
올해 20주년을 맞이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노인일자리사업)은 2004년 도입 당시에 약 3만5000개에서 103만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하는 사업으로 성장했다. 그동안 노인일자리 참여자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정책 성과를 검증했다. 노인일자리사업 급여는 기초연금 수급자에게 부가적 소득인데,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분석 결과(2021)에서 10.2%포인트 빈곤 감소 효과가 나타나 참여자의 복지를 강화하는 순기능이 있다. 또한 여러 연구를 통해 소득 효과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 심리·사회적 문제 완화, 사회적 관계 개선 등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하는 정책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긍정적 정책효과를 촉진하려면 다양한 사회참여 욕구를 가진 신노년 세대의 수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
노인일자리 정책은 노인에게 일자리, 사회활동, 교육기회를 촉진하는 모멘텀이 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정책방향은 첫째, 일자리의 양적 목표보다 양질의 일자리 확충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후소득보장 제도와의 보완적 관계에서 노인빈곤율 감소 목표에 초점을 두고 참여자의 근무환경과 급여 조건을 단계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일자리 수행체계에서 노년기 준비나 참여자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교육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일자리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미충족된 사회적 욕구를 해결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사회적으로 유용한 활동 수단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박경하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연구조사부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