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비디아'가 찜한 TSMC·하이닉스

박의명 2024. 6. 19. 18: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엔비디아의 가치사슬에 속하는지가 반도체 기업 간 희비를 가르고 있다.

엔비디아 칩을 양산하는 TSMC와 엔비디아에 인공지능(AI)용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는 질주하는 반면 엔비디아의 '품질 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삼성전자는 AI 랠리에서 소외되고 있다.

엔비디아에 AI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 시총도 연초 103조6675억원에서 지난 19일 종가 기준 171조805억원으로 65% 급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SMC 시총 8위…1조달러 육박
SK하이닉스도 올들어 65% 급등

엔비디아의 가치사슬에 속하는지가 반도체 기업 간 희비를 가르고 있다. 엔비디아 칩을 양산하는 TSMC와 엔비디아에 인공지능(AI)용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는 질주하는 반면 엔비디아의 ‘품질 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삼성전자는 AI 랠리에서 소외되고 있다.

19일 컴퍼니마켓캡에 따르면 전날 TSMC 시가총액은 9320억달러(약 1287조원)로 세계 8위를 기록했다. 벅셔해서웨이(9위·8890억달러), 일라이릴리(10위·8472억달러), 브로드컴(11위·8390억달러) 등 쟁쟁한 글로벌 기업을 제치고 아시아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시총 ‘톱10’에 들었다.

TSMC는 올 들어 주가가 65% 오르며 시총이 500조원 이상 불었다. 삼성전자 시총(485조원)보다 많다. 엔비디아에 AI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 시총도 연초 103조6675억원에서 지난 19일 종가 기준 171조805억원으로 65% 급증했다.

반도체업계에서 TSMC와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오른팔’과 ‘왼팔’로 불린다. 엔비디아의 AI 가속기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HBM을 붙여 만드는데, TSMC는 엔비디아가 설계한 GPU를 양산하는 것은 물론이고 GPU와 HBM을 한데 묶는 패키징도 전담한다. SK하이닉스는 4세대 HBM인 HBM3를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

반면 글로벌 1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는 올해 주가가 2.0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엔비디아 납품 통과가 지연되면서 AI 반도체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를 공급하기 위해 ‘퀄 테스트’(품질 검증)를 받고 있다.

HBM은 AI 가속기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 시장의 90%를 장악한 엔비디아의 낙점을 받는 게 관건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메모리 반도체 3사가 엔비디아만 바라보는 이유다. HBM은 내년 전체 D램 시장의 30%를 차지하며 메모리 반도체에서 주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