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 3번 언급한 김정은···한미훈련 등 글로벌 안보지형에 파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러정상회담은 양국이 미국에 대항한 '반미연대' 구축을 전 세계에 선포했다는 의미가 있다.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최근 5선에 성공한 뒤 미국의 '1극' 체제에 대항하는 전 세계 '다극화'를 유도하고 있다.
아울러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군사기술을 이전하는 방안도 논의했을 수 있다.
앞서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로켓에 러시아 기술이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푸틴 "군사기술 협력 배제 안해"
러 연방우주공사 사장 회담 배석
정찰위성 기술 北 이전 가능성도
금융·에너지·자원 전방위 밀착
북한과 러시아가 새 협정문에 ‘침략당할 경우 상호 지원을 하겠다’는 조항을 포함시키면서 글로벌 안보 지형에도 큰 파장을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의 군사 협력이 더욱 가속화되고 특히 한반도 유사시 자칫 러시아의 개입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반도의 안보 위협이 증폭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과 소련은 1961년 협정에서 ‘유사시 즉각 군사개입을 한다’는 합의를 했었다. 하지만 소련이 해체되면서 해당 협정은 1996년 폐기됐다. 이후 2000년 북한과 러시아는 무력 침공을 당하면 ‘쌍방은 즉각 접촉한다’고 규정했다. 이번 협정은 ‘즉각 군사개입’까지는 아니지만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항’의 부활로 해석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북한이 지원을 하고 있는데 지원 상황에 대해서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사항을 명문화시켰다”며 “과거 자동 군사개입이 최고 수준의 협력이었다면 2000년 ‘접촉’으로 완화됐다가 이번에 다시 수위를 끌어올린 것”이라고 해석했다. 홍 위원은 “미국이 가장 민감해 하는 우크라이나 전세에 영향을 미치고 동북아에서 핵 보유국으로서의 북한의 역할이 확대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한미연합훈련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북한의 위협 정도를 가정해 훈련을 했다면 이제는 러시아까지 감안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 입장에서도 북한·러시아와의 국경선에서 이번 합의가 어떤 군사적 변화를 가져올 것인지 분석에 나설 필요가 생기는 등 동북아 유관국들의 군사·안보 체계에 수정이 생길 수도 있다.
실제 이날 북러 정상은 전방위적인 밀착을 선언했다.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새 협정은 역사적인 일”이라며 “군사를 포함해 협력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자평했다. 또 “북러 관계가 동맹 수준으로 격상됐다”고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언론 발표에서 ‘동맹’ 표현을 3번이나 썼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군사 기술 협력 진전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는데 이는 북한이 원하는 첨단 군사기술 이양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으로 정찰위성에 대한 기술이전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상회담 배석자 중에는 유리 보리소프 연방우주공사 사장이 포함돼 있다. 이미 지원이 이뤄진 징후도 있다. 앞서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로켓에 러시아 기술이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기도 했다.
러시아가 북한에 얼마큼의 첨단 군사 기술이전 약속을 했을지도 관심이 모인다. 현재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핵추진잠수함 등의 기술이전을 원하고 있다. 다만 러시아가 첨단 군사기술을 모두 이전할 경우 북한에 대한 협상 레버리지를 모두 잃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북러는 서방의 제재에 합심해서 대응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북한과 획기적 협정으로 관계가 새로운 수준이 될 것”이라며 “양국은 정치적 동기에 따른 제재에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푸틴 대통령은 “미국 주도의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는 개정돼야 한다”며 북한의 편을 노골적으로 드는 모양새도 보였다. 결국 북러는 반미 연대를 통해 국제사회의 제재를 뚫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이외에 러시아에서는 국방 장차관과 함께 에너지·자원·교통·보건 분야의 책임자들이 배석해 북한과 전방위 협력이 의제로 다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세부적인 사안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위반 소지가 있어 공개는 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중국은 북러가 꾀하고 있는 북중러 대 한미일 대립 구도 형성을 탐탁지 않게 보는 모습이다. 13일 중국이 푸틴 대통령 방북설에 대해 “원칙적으로 중러가 전통적 우호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환영한다”고 했지만 18일에는 “평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며 결이 다른 발언을 한 것이다. 또 중국이 북러정상회담이 열리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응한 것도 북러 밀착을 경계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하는 이유다.
이태규 기자 classic@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넉달새 553조원 불어난 美 정부 적자…'빚의 소용돌이' 빠져드나
- 코로나 모범국이었는데 확진자 급증…영아들 중환자실서 집중치료 '이 나라'
- '커피 향보다 진한 감동 스토리'…'매일 스벅 온 할아버지 기억해요?'
- 여기서 진짜 판빙빙은 누구?…이젠 ‘짝퉁 스타’까지 등장한 ‘이 나라’ 정말
- 손흥민, 前에이전트와 계약분쟁 2심도 사실상 승소…4.4억만 주면 된다, 졌으면 얼마?
- 지드래곤도 '성심당'은 못 참아!…빵 잔뜩 사 들고 가는 사진의 정체는
- '버닝썬 루머' 벗어난 고준희, 첫 연극 도전 '설레고 뜻깊어'
- 그냥 발뒤꿈치 물집이었을뿐인데…다리 절단한 20대女, 도대체 왜?
- 70대 전 미식축구 감독, '48세 연하' 미모의 치어리더 열애에…'역겨워' 비난 봇물
- '하룻밤에 250만원'…'열도의 소녀' 日여성들 성매매, 배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