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지도 않는 쿠팡플레이 끼워넣고 요금 두 배↑" 시민단체 쿠팡 신고 

전아름 기자 2024. 6. 19. 17: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참여연대 "와우 멤버십 58% 인상하면서 쿠팡플레이 등 끼워팔기" 공정위에 신고

【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생경제위원회는 19일 쿠팡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쿠팡 로고 갈무리. ⓒ베이비뉴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생경제위원회는 19일 쿠팡을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이들이 쿠팡을 신고한 이유는 쿠팡이 일방적으로 와우 멤버십 가격을 58% 인상하면서 별개 서비스인 쿠팡플레이와 쿠팡이츠 알뜰배달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 행위를 '끼워팔기'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리 공정거래법 제45조 제1항 제5호는 '부당하게 경쟁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도록 강제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며, 공정거래법 시행령은 거래강제 행위의 사례로 '거래상대방에게 자기의 상품 또는 용역을 공급하면서 정상적인 거래관행에 비추어 부당하게 다른 상품 또는 용역을 자기 또는 자기가 지정하는 사업자로부터 구입하도록 하는 행위'인 '끼워팔기'를 금지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 이용자 불만 신고센터 센터장인 서치원 변호사는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국민들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일부 업체들의 시장지배력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입점업체와 소비자 피해사례들이 발생했다"면서 "이러한 소비자와 이용사업자들의 권리침해 사례와 불만을 모아 각 플랫폼 기업들에 개선요구를 하고, 필요한 경우 공정위 신고 등을 통해 바꾸기 위해 지난 달 5월 13일 '온라인 플랫폼 이용자 불만 신고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이미 2021년경 온플법 제정논의 과정부터 온라인 플랫폼의 불만(고충)처리 프로세스가 필요함을 역설해왔으나 최근까지도 온라인 플랫폼 업계와 정부는 자율규제로 해결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임을 전했다. 그러나 지난 한 달간 신고센터를 운영한 결과 총 118건의 이용자 불만 사례가 접수되었으며 그 중 대다수는 온라인 플랫폼 불만처리 프로세스가 부재한 상황에서 자율규제로는 해결이 요원한 문제들로 보인다고 참여연대는 전했다.

서치원 변호사는 이용자 불만이 많은 기업으로 '쿠팡'(쿠팡이츠포함)과 '배달의 민족'이 선정되었다고 지적했는데 이는 불만사례가 가장 많은 기업은 그만큼 소비자와 이용사업자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지배적 플랫폼일 개연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들 기업을 지배적 플랫폼으로 간주해도 크게 틀린 얘기는 아닐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 변호사는 지난 한 달간 신고센터를 운영한 결과 총 118건의 입점업체와 소비자 불만 사례가 접수되었으며, 쿠팡과 관련해서는 '와우 멤버십의 일방적인 가격인상이 불공정하다', '쿠팡플레이나 쿠팡이츠를 사용하지 않는데 멤버십 가격이 일방적으로 인상되었다', '결제창이 뜰 때마다 자동으로 가격인상에 동의하도록 하는 팝업창이 떠서 교묘하게 수락을 하도록 메뉴를 구성했다' 등의 불만 신고가 있었다고 발언했다.

이번 사건의 신고대리인인 이주한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변호사는 쿠팡이 2019년 월 2900원으로 시작한 '와우 멤버십'을 2021년 4990원, 그리고 올해 4월 7890원으로 58% 연달아 인상하면서 일방적인 요금 인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 무료 로켓배송, 무료 새벽배송, 무료 쿠팡이츠 배달비, 쿠팡 플레이 등 '타사 절반도 안되는 가격으로 10가지 이상 혜택을 제공'한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이는 우리 공정거래법이 금지하고 있는 '거래강제', '끼워팔기'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 변호사는 쿠팡의 이러한 끼워팔기 전략은 언뜻보면 여러 서비스를 합쳐서 가격을 낮게 제공해 소비자들의 후생을 높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독자적으로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서비스를 주된 서비스에 끼워넣어 가격을 올리는 근거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다른 시장 영역의 경쟁사업자들에게도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해 전체적으로 소비자 후생을 악화시킨다고 지적했다.

쿠팡이츠가 와우 멤버십 가격 인상 불과 18일 전에 무료배달 서비스를 시작하고 대신 와우 멤버십 가격을 인상하면서 쿠팡 본인은 요금인상의 효과를 그대로 누리지만, 배달앱 시장의 경쟁사업자들이 여기에 대항하기 위해 앞다투어 무료배달 확대 프로모션을 내놓으면서 결국 수수료가 인상되거나 배달노동자들의 기본배달료를 깎고, 이 과정에서 중소상인들은 이 부담을 음식가격 인상이나 음식의 양과 질을 떨어뜨림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전가시키는 '조삼모사'의 상황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양창영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본부장은 지난 주에 1400억원대 과징금 처분이 있었던 쿠팡의 자사 PB 상품 부당지원과 임직원을 동원한 리뷰조작 사건과 이번 끼워팔기 사건을 보더라도 현행 공정거래법으로는 급변하는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독과점과 불공정 행위를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전에 모니터링하고 규제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 명확히 확인한 것이라면서 "만약 유럽연합에서 시행하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독점규제법이 우리나라에도 시행이 되었다면 쿠팡과 같이 시장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업자가 자사우대나 끼워팔기, 시장을 넘나드는 공정경쟁 저해행위를 저지르는 단계에서부터 경쟁당국이 이를 충분히 모니터링하고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Copyright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