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CDMO' 전쟁에 韓기업 '맹추격'…"인력 확보 부족" 우려도

홍효진 기자 2024. 6. 19. 15: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바이오 CDMO 기업 생산능력. /사진=김다나 디자인기자


제약·바이오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CDMO(위탁개발생산) 분야에서 국내 기업들이 개발에선 뒤지지 않지만 생산시설 대비 전문 인력 확보는 더디단 지적이 나온다. 인도·스위스 등 글로벌 업계에선 CDMO 자회사를 신설하거나 생산시설을 확충하는 등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만큼 인력확보에 더 노력해야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 10대 제네릭(합성의약품 복제약) 제약사 인도의 루핀은 지난 17일(현지시간) API(원료의약품) 개발·생산·판매를 담당할 CDMO 전문 자회사 LMS를 신설, 바이엘·머크·론자 등 글로벌 바이오 업계에서 근무 경험을 쌓은 아브델아지즈 투미를 CEO(최고경영자)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미국·브라질·멕시코 등 전 세계 15곳에 제조 인프라를 구축한 루핀은 새로 설립한 자회사를 통해 CDMO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스위스 CDMO 기업 지크프리트 역시 미국 내 입지 강화 목적으로 위스콘신주(州)에 위치한 큐리알 글로벌의 초기 생산시설을 최근 인수했다. 앞서 올해 4월 볼프강 비난드 CEO가 오는 여름부터 경쟁사 론자에 본격 합류한단 소식이 전해진지 두 달 만이다. 인수 관련 세부적인 재무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며 최종 인수 절차는 내달 1일 마무리된다. 해당 시설은 초기 단계의 의약품 개발 및 제조 서비스에 특화된 곳으로 지크프리트는 이를 글로벌 고객사를 위한 초기 단계 CDMO 허브로 발전시키겠단 입장이다.

최근 제약·바이오 기업은 CMO(위탁생산)·CDO(위탁개발), 이를 통합한 개념의 CDMO를 비롯해 CRO(임상수탁) 등을 활용, 비용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통상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5년, 투입 비용은 평균 2조원을 웃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바이오 CDMO 시장 규모는 2020년 113억원에서 2026년 203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미국 정부의 생물보안법 추진 이후 입지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 바이오 기업 견제 내용이 담긴 해당 법안은 이달 미국 의회에서 제동이 걸렸지만, 업계에선 여전히 연내 통과 가능성을 높이 보고있다.

한국 기업 역시 아웃소싱 사업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기본적인 전략 테두리는 '속도전'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설립 초부터 대규모 투자에 따른 '초격차' 전략을 내세웠다. 인천 송도 5공장이 내년 4월 완공되면 생산능력으론 세계 최대치인 78만4000ℓ(리터)를 보유하게 된다. 에스티팜도 경기 안산 반월 캠퍼스에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제2공장을 짓고 있다. 연말 시설 완공 예정으로 내년 6~7월쯤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 역시 12만ℓ 생산 규모의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을 설립 중으로 2030년까지 3공장을 완공, 총 36만ℓ 규모 생산시설을 확보할 계획이다.

국내 한 CDMO 업계 관계자는 "지리적으로 아시아·태평양 중심에 있어 접근성이 우수하고 전문성을 갖춘 인재가 많단 점에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글로벌 학회나 콘퍼런스 등에서도 K-바이오의 저력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수준이 국제 표준인 것도 메리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인력 부족은 고질적 문제로 언급된다. 또 다른 국내 CDMO 업계 관계자는 "미국·유럽과 비교하면 국내 바이오 산업은 신성장 단계다보니 보유 인력 규모가 적다"며 "기업별 대학 산학협력 프로그램으로 인력 유치에 나서고는 있지만 생산성 발전 속도와 대비해선 더딘 편"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해외 인력 유출 우려도 있지만 최근 생물보안법 이슈 때문에 중국으로의 인력 유출은 쉽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교육 인프라 등 부족으로 인력 자체가 부족한데 국내 기존 기업에서 신설 업체로의 인력 이동이 잦은 상황이다. 개별 기업 입장에선 인력 공백은 더 치명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홍효진 기자 hyost@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