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빅5 총출동한 방산대전…키워드는 '제공권'과 '무인화'

최지훈 2024. 6. 19. 15: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날까지 대전에서 국방산업발전대전 개최
LIG·풍산 드론 기술 뽐내…KAI는 '유무인 체계'
한화·현대로템 제공권 뒷받침할 육상전력 과시

[대전=최지훈 기자]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은 압도적인 공군력에도 제공권 장악에 실패하고 드론에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공권과 무인화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에 국내 방산 빅5(한국항공우주, 한화, LIG넥스원, 현대로템, 풍산)도 이를 고려한 기술 및 제품 개발에 주력 중이다. 

지난 17일부터 대전시 유성구 DCC(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국방산업발전대전에서도 관련 트렌드가 한눈에 들어왔다. 국방산업발전대전은 국방 관련 기술교류와 정책설명회, 민·군 간담회, 전문 세미나 등을 통해 방위산업의 발전과 관련 기업의 판로 개척 등을 모색하는 행사다. 

대전에서 열린 국가방위산업대전에서 풍산이 신형 드론을 선보이고 있다./사진=최지훈 기자 jhchoi@

드론 기술 뽐낸 풍산과 LIG넥스원

이번 국방산업발전대전에서 풍산과 LIG넥스원은 드론을 중심으로 기술력을 뽐냈다. 풍산은 전투 드론 'MCD-7'과 'MCD-2'를 나눠서 전시했다. MCD-7은 이륙 중량 7Kg·탑재중량 3Kg의 제원을 가지고 있다. MCD-2는 각각 2Kg, 0.3Kg의 성능의 소형이다. 

투하 공격 전투 드론을 선보인 LIG넥스원은 한국 등 박격포탄이(60mm, 81mm, 4.2in) 많은 국가들의 특성을 고려해, 상용 드론을 개조해 바로 박격포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투하 공격 전투 드론은 탄약 투하 공격 소형 드론과 상용 드론 및 양산 탄약 개조 드론으로 나뉜다.

LIG넥스원이 소형 정찰·타격 복합형 드론을 전시하고 있다./사진=최지훈 기자 jhchoi@

LIG넥스원은 소형 정찰·타격 복합형 드론을 공격과 수비용을 함께 전시하며 고객들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혔다. 탑재중량 40kg급 수송용 멀티콥터형 드론을 비롯해 드론용 초소형 SAR(고성능 영상 레이더), 데이터링크, 지상통제시스템 및 통합항공전자 시스템 등이 전시됐다. 특히 소형드론용 지상통제장치라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대(對) 드론 통합체계'도 관람객들의 발걸음을 사로잡았다. '대(對) 드론 통합체계'는 미확인 드론을 탐지·식별·무력화해, 국가 중요 시설과 아군 전력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다. 탐지 센서, 능동형 전자주사식 위상배열(AESA) 레이더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를 통해 적 드론을 탐지한 후 전자광학 적외선(EO/IR) 카메라로 추적해 '재머(Jammer, 적 드론의 통신·레이더체계 사용을 무력화하는 기술)'로 제압한다. 

풍산과 LIG넥스원 관계자는 "다목적 전투 드론의 경우 전장 상황에서 필요한 임무장비를 선택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신개념 전투 드론 체계"라며 "서로 다른 종류의 상용 드론을 단일 통신 플랫폼으로 운용할 수도 있어, 긴급한 상황에서 신속히 임무에 투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AI가 유인기와 무인기 간 협업이 가능한 미래 기술인 유무인 복합체계를 전시하고 있다./사진=최지훈 기자 jhchoi@

KAI, 미래 전쟁 핵심 '유무인 복합체계' 선봬 

무인화에 방점을 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유무인 복합체계'를 선보였다. 미래 전쟁에 핵심으로 불리는 유무인 복합체계(MUM-T: Manned-UnManned Teaming)는 유인기와 무인기 간 협업이 가능한 미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유무인 복합체계가 실용화되면 조종사가 탑승한 유인기와 무인기가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유무인 복합 편대 운용이 가능해 조종사의 생존확률과 작전 효율성이 대폭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KAI의 다목적 무인기(AAP)와 소형 다기능 모듈화 비행체는 미래 전장 환경에서의 전투 생존성 향상을 위해 정찰, 기만, 전자전, 자폭 등 다양한 목적으로 유인기보다 빠르게 적 진영에 침투해 작전을 수행한다. 유무인 복합체계에 적용되는 다기능 모듈화 비행체는 2026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두고 있다.

KAI 관계자는 "KAI는 무인기 플랫폼 고도화를 통해 유무인 복합체계가 적용된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며 "다목적 임무 수행이 가능한 무인기 및 파생형 항공기 개발로, 국군 전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K9 자주포 및 레드백 보병전투장갑차(IFV)에 탑재되는 통합전장 시스템(IVS)을 선보이고 있다./사진=최지훈 기자 jhchoi@

한화·현대로템, 제공권 뒷받침 할 육상 전력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의 경우 제공권을 뒷받침할 육상 전력 중심으로 부스를 꾸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은 자주포 분야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1위의 독일제 PzH2000(55.3톤)에 비해 가벼운 무게(47톤)로 기동성 역시 뛰어나다. 현재까지 폴란드, 노르웨이, 이집트, 호주, 핀란드 등 8개국에 수출됐다. 영국 군사정보기업 제인스에 따르면 2032년에 점유율 63.8%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K9 자주포 및 레드백 보병전투장갑차(IFV)에 탑재되는 통합전장 시스템(IVS)도 선보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9 자주포의 2차 성능개량 모델(K9 A2) 모형을 비롯해 K10 탄약운반차, 모듈형 추진 장약, 정밀 유도 신관 등 'K9 자주포 종합 패키지'를 발표했다.

통합전장시스템(IVS)은 지상 전투체계의 두뇌와 감각기관에 해당한다. 지휘 및 사격통제, 각종 센서와 통신체계 등을 통합한 시스템으로 다양한 무기체계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대한민국 최전선에서 입증된 우리 무기들은 세계 곳곳의 평화 유지를 위한 최적의 대안으로,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세계 최고의 설계·생산 노하우를 활용해 수출 국가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스텔스 기능을 장착할 현대로템의 차세대 전차./사진=최지훈 기자 jhchoi@

현대로템은 스텔스 기능을 탑재한 차세대 전차가 주목받았다. 차세대 전차는 30㎜ 활강포를 주포로 대구경탄을 탑재했으며, 정찰용 드론을 함께 운용한다. 원격사격통제체계(RCWS) 탑재와 더불어 인공지능(AI) 승무원을 활용해 최소한의 인원(2~3명)만으로도 전장에 나갈 수 있다.

또한 군인의 생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캡슐형 승무원실 방호와 능동방호장치 그리고 EMP 차페기(전자기 펄스가 전차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장치)도 갖추고 있어 적의 폭격과 전자기전에도 대비할 수 있게 했다.

동력 장치는 하이브리드로 효율성을 극대화했고, 능동형 현수 장치, 밴드형 궤도로 기동성을 강화시켰다. 차체는 기존의 전차들과 다르게 레이더 반사 흡수 코딩과 반사각을 최소화해 스텔스 성능을 높였다. 

자체 드론 운용과 스텔스 성능은 제공권을 장악한 공군의 뒤를 이어 영토를 수복하거나 빠르게 침투할 때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부무장으로 레이저건(RCWS) 다목적 미사일 시스템을 제시해 적 드론에도 방어가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꾸준한 연구개발과 기술 고도화를 통해 미래 전장 환경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최지훈 (jhchoi@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