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타이베이 과학단지서 정전 발생…엔비디아CEO 우려 현실화?

김철문 2024. 6. 19. 14: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컴퓨터 반도체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의 대만 지사 등이 자리잡고 있는 타이베이의 과학단지에서 정전이 발생, 대만 내 전력 공급 상황에 대한 각계 우려가 현실화했다고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이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타이베이 네이후 과학단지에서는 전날 오전 11시 18분께 정전이 발생했다.

네이후 과학단지에는 엔비디아의 대만 지사는 물론 폭스콘, 위스트론, 델타전자 등 3천여 기업이 입주해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지사 등 3천여 기업 입주 단지서 전력 문제…"정전 원인은 노후 전선"
2017년 대만 대규모 정전사태 당시 불꺼진 타이베이 101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컴퓨터 반도체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의 대만 지사 등이 자리잡고 있는 타이베이의 과학단지에서 정전이 발생, 대만 내 전력 공급 상황에 대한 각계 우려가 현실화했다고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이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타이베이 네이후 과학단지에서는 전날 오전 11시 18분께 정전이 발생했다.

이번 정전으로 인해 네이후 과학단지 인근 지역 가구 655곳도 정전을 겪었으며 정전 원인은 노후 전선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한 시민은 소셜미디어에 네이후 과학단지 내 많은 건물에서 정전이 발생했다면서 네이후 과학단지에서도 정전이 발생할 줄은 몰랐다는 글을 올렸다.

네이후 과학단지에는 엔비디아의 대만 지사는 물론 폭스콘, 위스트론, 델타전자 등 3천여 기업이 입주해 있다.

대만전력공사(TPC)는 신고 접수 후 긴급 복구에 나섰고, 낮 12시 26분께 전력 공급이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이에 제1야당 국민당 소속의 유수후이 타이베이 시의원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최근 걱정했던 대만 전력 문제가 터졌다면서 집권 민진당의 에너지 정책이 줄타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이달 초 열린 아시아 최대 정보기술(IT) 행사 '컴퓨텍스 2024' 참석차 대만을 방문한 젠슨 황 CEO는 지난 6일 추가 R&D 센터 건립과 관련해 "대만의 전력 개발이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장관)도 지난 12일 입법원(국회)에 출석해 "인공지능(AI)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2028년 이후 전력난이 우려된다"고 밝히는 등 대만 전력 공급에 대한 우려가 최근 잇따라 제기되는 상황이다.

대만 전력 생산은 주로 석탄과 가스를 사용한 화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 노후 전력망도 큰 문제로 꼽힌다. 여기에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를 포함한 첨단 반도체 기업들의 전력 수요가 커 정전 사태도 종종 발생한다.

실제 대만에서는 지난 7년간 3차례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고 작년에도 여러 차례 소규모 정전이 있었다.

이런 가운데 대만은 전력 생산 구조에서 석탄 화력 발전과 원자력 발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앞서 민진당 소속 차이잉원 전 총통은 2016년 5월 취임 당시 2025년까지 대만 내 모든 원전의 원자로 6기를 폐쇄하고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계획을 공표한 바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jinbi100@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