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 책꽂이] 모든 것이 거기 있었다 외

이윤정 2024. 6. 19. 05: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작가인 저자가 32년 동안 이어온 유럽 예술가들의 묘지 순례기를 소개했다.

청춘 시절부터 저자를 사로잡았던 시인, 소설가, 화가, 음악가, 가수, 극작가, 영화감독 등의 생애 공간과 그들의 영원한 거처를 찾아갔다.

총기 난사로 사망한 소녀의 디지털 복원과 그 피해 가족에게 가해지는 인터넷 트롤링(의도적 도발행위)을 다룬 '추모와 기도', 첨단 기술이 현대 사회에 끼칠 우려를 다룬 '비잔티움 엠퍼시움' 등을 소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든 것이 거기 있었다(함정임|552쪽|현암사)

작가인 저자가 32년 동안 이어온 유럽 예술가들의 묘지 순례기를 소개했다. 청춘 시절부터 저자를 사로잡았던 시인, 소설가, 화가, 음악가, 가수, 극작가, 영화감독 등의 생애 공간과 그들의 영원한 거처를 찾아갔다. 어머니 사랑을 독차지했다가 어머니의 재혼으로 고립된 운명에 맞닥뜨렸던 샤를 보들레르, 파리의 이방인 사뮈엘 베케트 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안전경영의 시대가 온다(홍성훈|288쪽|라온북)

급변하는 시대적 트렌드인 ‘안전’에 대해 기업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상세히 알려준다. 안전은 기업의 경쟁력이자, 기업을 시장에서 평가하는 ‘평판지수’이기도 하다. ‘10배 매출의 차이를 만드는 기업의 안전문화’를 비롯해 ‘안전과 ESG 융합’ 등 경영자가 알아야 할 안전 리더십을 정리했다. 안전문화 개선 플랫폼 4단계와 중대재해처벌법을 위한 안전경영 로드맵도 제시했다.

△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박주용|340쪽|동아시아)

현대과학의 탄생부터 위대한 예술가들의 창작 노트까지 넘나들며 창의성의 본질을 파헤쳤다. 문화물리학자인 저자는 포스트 인공지능(AI) 시대에도 중요한 것은 인간의 창의성이라고 역설한다. 베토벤 교향곡을 디지털 음원으로 기록하는 방법, 르네상스기의 원근법, ‘어벤져스’ 시리즈의 컴퓨터그래픽으로 이어지는 재현 기술 등 과학·문화·예술 분야의 창의성 역사를 흥미롭게 전한다.

△이더리움 억만장자들(로라 신|568쪽|위즈덤하우스)

아이디어 하나로 최연소 억만장자가 된 비타릭 부테린과 이더리움을 탄생시킨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전 ‘포브스’ 편집장인 저자가 이더리움 커뮤니티 조직원 200여 명을 직접 만나 취재한 내용을 정리했다. 이더리움이 비트코인과 무엇이 다른지, 이더리움은 어떤 방향성으로 탄생했는지, 이더리움의 시작과 변화로 바라본 암호화폐의 미래 등 창시자들의 생각과 통찰을 엿볼 수 있다.

△아름다운 실험(필립 볼|248쪽|소소의책)

실험 설계나 구상, 과정 등 여러 방면에서 수행된 실험을 상세히 들여다봤다. 이를 통해 최초의 현미경과 망원경부터 오늘날의 거대한 입자충돌기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과학기술과 기기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려준다. 수천 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어떤 실험이 논쟁을 불러일으켰는지도 살펴봤다.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게 됐는지, 그 본질은 무엇인지 탐구했다.

△은랑전(켄 리우|504쪽|황금가지)

동시대 가장 주목받는 SF작가 켄 리우의 두 번째 단편집이다. 40년 만에 휴고상, 네뷸러상, 세계환상문학상을 처음으로 동시 수상한 대표작 ‘종이 동물원’을 비롯해 13편의 단편을 수록했다. 총기 난사로 사망한 소녀의 디지털 복원과 그 피해 가족에게 가해지는 인터넷 트롤링(의도적 도발행위)을 다룬 ‘추모와 기도’, 첨단 기술이 현대 사회에 끼칠 우려를 다룬 ‘비잔티움 엠퍼시움’ 등을 소개했다.

이윤정 (younsim2@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