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수박 '랩' 씌우지 마세요...식중독균 득실 [앵커리포트]

이은솔 2024. 6. 18. 21: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름철 대표 과일로 꼽히는 '수박'.

요즘 무척 더워진 날씨에 찾으시는 분들 많으시죠.

양이 많아 한 번에 다 먹기 어려운데

어떻게 보관하고 계십니까?

두꺼운 껍질 반 뚝 잘라 나눠 먹고,

남은 단면에 '랩' 씌워 냉장 보관하는 경우 많으실 겁니다.

이는 세균이 급격하게 증식하는 원인이 됩니다.

한국 소비자원 연구팀이 관련 실험을 해봤습니다.

멸균한 칼, 도마 조리기구를 사용하고, 식중독균이 없는 냉장고를 이용해 실험해봤더니

짧은 기간임에도 '랩'을 씌워 보관한 수박 단면의 세균수가

초기 농도 대비 약 3천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배탈과 설사 같은 식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었는데요

그럼 어떻게 보관해야 안전하게 먹을 수 있을까요?

'밀폐용기'가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랩이 아닌 밀폐용기에 보관했던 수박은

세균 오염도가 약 100배 더 낮았습니다.

연구원들은 칼로 자르기 전 수박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고,

한 입 크기로 조각 내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 보관하는 것을 추천했습니다.

이제 슬슬 휴가도 떠나실 텐데요

시원한 계곡물에 수박을 담갔다 꺼내 먹는 것도 지양해야 합니다.

물속엔 각종 미생물이 많고, 수박의 당도가 높아 세균 증식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먹을 때 또한 손이 아닌 포크를 사용하는 게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요즘 1인 가구가 늘면서 미니 수박, 조각 수박도 인기라고 하니

가구 상황에 맞게 고려해 보면 좋겠습니다.

무더위 속 즐겨 먹는 수박.

올바른 보관과 섭취법으로 건강하고,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YTN 이은솔 (eunsol042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