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휴진 참여율 15%"…강남 '피·안·성'은 매출 줄까 파업안해
처벌 피하려 반나절만 닫거나
"원장님 학회 참석" 변칙 쓰기도
경쟁 치열한 피부과·성형외과
하루만 쉬어도 매출 감소 타격
"문 닫을 생각은 처음부터 안해"
의협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엄포
지난 17일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대병원에 이어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 주도로 일부 동네 병·의원까지 집단 휴진에 가세했다. 의료현장에서 큰 혼란은 없었지만 일부 동네병원은 정부의 처벌을 피하려고 반나절 휴진하거나 ‘꼼수 휴진’을 강행해 환자들의 원성을 샀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 신사동 인근 피부과와 성형외과 등 비급여 진료가 많아 ‘돈이 되는’ 병원은 환자들로 문전성시를 이뤄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전국 동네병원 중 14.9%인 5379곳이 집단휴진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20년 8월 집단행동 당시 참여율(32.6%)의 절반 수준으로, 응집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돈 되는 강남 성형외과는 ‘문전성시’
의협 주도로 개원의와 일부 대학병원 교수가 집단 휴진을 개시한 첫날인 18일 오후 1시. 정상 진료하던 서울 마포구 A내과에는 환자 10여 명이 대기 중이었다. 이 병원 의사는 “기존 환자들의 예약 일정 때문에 정상 운영한다”며 “동네병원은 하루만 휴진해도 매출이 줄기 때문에 문을 닫기 어렵다”고 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문을 연 병원을 찾느라 환자들이 애를 먹었다. 신촌에서 근무하는 30대 직장인 이모씨는 “점심을 먹고 배탈이 났는데 진료를 보는 동네의원을 찾느라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논현동과 신사동 인근에 밀집한 피부과와 성형외과, 안과 등은 문전성시를 이뤘다. 세계 각지에서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피부 시술을 받으려고 줄을 서는 와중에 휴진은 이들 의원에 ‘먼 나라 이야기’다. 중국 일본 등 관광객의 패키지 관광 상품에 포함돼 있다고 알려진 논현동 A성형외과는 점심시간을 앞둔 오전 11시에도 시술받기 위해 기다리는 관광객으로 대기실이 가득 차 있었다. 외국인 의료 관광의 ‘성지’로 꼽히는 신사동 B피부과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하루평균 10~15명의 외국인이 리프팅 등 시술을 받기 위해 이곳을 방문한다. 이 병원 의사는 “경쟁이 심해 하루 휴진이 평판과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치명적이기 때문에 의협의 ‘강경 투쟁’ 기조에도 휴진은 애초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변칙 휴진’에 환자들 골탕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이날 휴진하겠다고 사전 신고한 의료기관은 전체의 4.02%였지만 꼼수 휴진이 많아 환자들이 골탕을 먹었다. 오전에 두 시간만 진료하는 식으로 단축 진료하거나 ‘원장님이 아파서’ ‘원장님 학회 참석’ 등 개인 사유, ‘에어컨 청소’ 등 병원 사정을 들어 변칙 휴진한 곳이 적지 않았다. 정부가 전국 모든 병·의원에 업무개시명령을 내려 추후 불법 논란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학병원에서도 큰 혼란이 없었다.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빅5’ 병원은 외래 진료를 받으려는 환자들이 제법 눈에 띄었다. 병원 측은 평소 수준으로 진료를 봤다고 했다. 세브란스병원을 찾은 한 50대 남성은 “제때 진료받지 못할까 봐 걱정했는데 예정대로 외래 진료를 마쳤다”고 말했다.
지방에 있는 대학병원도 대체로 평소와 비슷한 모습이었다. 전북대병원에서는 교수 250여 명 중 10%가량이 이날 휴가를 냈다. 울산대병원은 의사 휴진으로 외래 진료 일정 103개 중 31개(30.1%)가 취소됐지만 평소처럼 환자 진료가 이뤄졌다.
일부 교수가 휴진에 동참하면서 수술 건수는 줄어들었다. 울산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서울아산병원의 전신마취 수술 건수는 72건으로 1주일 전보다 48.9% 줄었다.
의협,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선언
의협은 이날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서울 여의도에서 의사 1만여 명이 모인 가운데 총궐기대회를 열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의사들의 정당한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이날 의협의 집단 휴진과 관련해 성명을 내고 “의사들이 끝내 불법 집단 휴진에 들어가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내팽개쳤다”며 “불법행위를 법대로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희원/김다빈/이우상 기자 tophe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러니 일본 가지"…5박6일 제주도 여행 갔다가 '경악'
- "삼겹살보다 싸고 살도 안 쪄요"…요즘 MZ들 푹 빠진 음식
- "다이소 염색약 때문에…" 약사들 반발에 결국 손 들었다
- "아기 낳으면 1억 준다는데…" 이 회사 직원들 '인기 폭발' [돈앤톡]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아"…한국서 나타난 '기이한 현상'
- [단독] "회사 접는다" 강형욱, 한 달 전에도 10억대 근저당 설정
- 서은우 "사적인 사진 보내"…남태현에 리벤지 포르노 협박 당했나
- "황재균 이혼했다고" 발언 논란…이광길 해설위원 결국 사과
- "이래도 내가 나쁜 X?"…서유리가 공개한 최병길 PD와 이혼 사유
- 백종원 점검했다더니…탕수육·짜장면 상태에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