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장 무너지는 소상공인들 "365일 하루도 쉬지 못하고 매일 출근해도 빈털터리"

이재훈 기자 2024. 6. 18. 17: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연합회, ‘2025년도 최저임금 소상공인 입장 발표 기자회견’
최저임금 업종별 구분적용, 결정방식 개선, 주휴수당 폐지 등 요구
소상공인연합회는 18일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에서 ‘2025년도 최저임금 소상공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소상공인연합회

[마이데일리 = 이재훈 기자] "근로자에게 메뚜기 근무 강요하는 주휴수당, 하루속히 폐지해야 합니다.”

내년도 최저임금 산정을 앞두고 전국 소상공인들의 볼멘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인건비 부담을 느끼는 편의점·커피숍·PC방 자영업자들의 한숨이 가장 깊다.

소상공인연합회는 18일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에서 ‘2025년도 최저임금 소상공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다음 주 최저임금위원회의 최저임금 구분 적용에 관한 논의를 앞두고, 최저임금법 제4조1항에 명시된 업종별 구분적용의 시행과 최저임금 제도개선, 주휴수당 폐지 등을 촉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기준 회장 직무대행은 “최저임금은 지난 2017년 6470원에서 2024년 9860원으로 50% 이상 상승했다”며 “같은 기간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2017년 158만명에서 2023년 141만명으로 17만명 줄었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15만명에서 437만명으로 22만명이나 늘어날 정도로 소상공인이 한계상황에 내몰렸다”고 강조했다.

또한 “특별한 기술이나 유관 경력이 없는 저숙련 초년생들도 낮은 허들로 쉽게 진입할 수 있고, 노동생산성도 낮은 편의점·커피숍·PC방 등의 업종에서 구분적용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높다”며 “근로자에게 사회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인건비 부담을 낮춰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업종별 구분적용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 최저임금은 사용자·노동자·공익위원이 결정하는 민간주도 방식을 표방하고 있으나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는 공익위원의 의도대로 결정되고 있다”며 “최저임금을 통해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고자 한다면, 정부가 최저임금 결정에 참여하고 소상공인의 고용에 대한 실효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서 소상공인의 고통을 덜어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18일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에서 ‘2025년도 최저임금 소상공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소상공인연합회

이날 기자회견에는 편의점, 커피숍, PC방, 음식점, 미용실 등을 운영하는 업종별 소상공인이 참석해 최저임금 관련 업종별 요구사항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카페를 운영하는 서지훈 대표는 “월요일에서 목요일에는 9시간, 금요일과 주말에는 10시간을 365일 하루도 쉬지 못하고 매일 출근해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며 “각종 비용과 함께 인건비까지 너무 가파르게 상승했기에 가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용시간을 줄이고 내가 더 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그는 “5년여 전까지만 해도 아르바이트생을 월평균 200시간 가량 고용했는데, 지금은 3명을 주15시간 미만으로 총 120시간밖에 고용을 못한다”며 “소상공인에게는 관리의 어려움을, 근로자에게는 메뚜기 근무를 강요하는 주휴수당을 하루속히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PC방을 운영하는 김성수 대표는 “저뿐 아니라 많은 사장님들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쉬는 날도 없이 10시간, 16시간씩 근무하는 게 현실”이라며 “여기서 더 일하기는 너무 힘든데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생계를 이어가기 위한 수단으로 자신의 근무시간을 늘리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토로했다.

미용실을 운영하는 김선녀 원장은 “미용업계는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고용에 대한 부담이 커져 1인 사업장이 급증했다”며 “저 역시 디자이너 3명, 교육받으며 근무하는 보조스태프 3명 등 많을 때는 6~7명이 근무하던 때도 있었는데 이제는 겨우 1명이 남았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자격증과 면허를 취득해도 숙련된 미용사가 되기까지는 보통 3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며 “해당기간에는 근로와 교육이 병행되는 점을 고려하여 직업능력개발기금 등을 만들어 고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