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원 넘는 ‘비장의 무기’ 꺼낸 푸틴…서방 무기 막으려 S-500 첫 배치[핫이슈]

송현서 2024. 6. 18. 17: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방국가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이 이어지는 가운데, 러시아군은 기존의 대공 방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기 시작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킬리로 부다노프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장은 12일(이하 현지시간) "러시아군이 크림반도에 S-500 대공방어 체계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부다노프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장은 "러시아의 방공 시스템이 강화하고 있다. S-500이 등장한 것에서 매우 분명하고 쉽게 이해할 있다"면서 S-500이 현재 크림반도에 배치돼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러시아군의 S-500 대공 방어 체계 자료사진

서방국가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이 이어지는 가운데, 러시아군은 기존의 대공 방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기 시작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킬리로 부다노프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장은 12일(이하 현지시간) “러시아군이 크림반도에 S-500 대공방어 체계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러시아군의 S-500 대공방어 체계 자료사진

S-400을 개량한 S-500은 최대 600㎞ 밖에 있는 목표물을 탐지해 탄도미사일, 초음속순항미사일, 항공기 최대 10기를 동시 추적하고 격추할 수 있는 러시아의 최첨단 무기다. 그동안 실전에 투입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비장의 무기’로 꼽히기도 한다.

지난해 미국 디펜스뉴스에 따르면, S-500의 한 체계당 가격은 최대 약 25억 달러, 한화로 무려 3조 453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S-500 실전배치와 관련한 설이 여러 차례 돌았지만, 실전 투입 사실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비장의 무기’ 꺼내든 러시아군, 이유는?

우크라이나군이 지난 한 달 여간 러시아 S-400의 탐지 레이더를 공격해 기능을 일부 훼손하거나 전체 시스템을 파괴해 무력화 한 사례는 최대 7건에 달한다.

러시아가 점령 중인 크림반도와 동부 도네츠크, 러시아 영토인 벨고로드에 배치돼 있던 S-400 일부 또는 전체 체계가 파괴됐다.

‘러시아판 사드’로 불리는 S-400 지대공 미사일 자료사진

러시아가 자랑하던 S-400을 무력화하는데 사용된 무기는 미국이 우크라이나 지원한 장거리 지대지 미사일 에이태큼스, 역시 미국이 제공한 정밀 유도 로켓인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이하 하이마스), 영국이 제공한 장거리 공대지 순항미사일 스톰 섀도’ 등이다.

더불어 지난달 30일에는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크림대교(케라치 대교) 공습에서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의 병력과 군수물자 수송을 맡던 페리선 두 척을 파괴하는데 성공했다. 해당 공격에서도 미국이 제공한 에이태큼스가 이용됐다.

미국 장거리 지대지 미사일 ATACMS(에이태큼스) 자료사진

러시아는 미국과 영국 등 서방 국가가 자국이 제공한 무기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영토를 직접 타격해도 좋다는 허가가 떨어진데다 크림반도 주변에서 전황이 불리해지자 이를 방어하기 위해 부랴부랴 S-500 실전 투입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부다노프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장은 “러시아의 방공 시스템이 강화하고 있다. S-500이 등장한 것에서 매우 분명하고 쉽게 이해할 있다”면서 S-500이 현재 크림반도에 배치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크라이나군은 크림반도 여러 지역에서 S-300 및 S-400 방공 시스템 레이더 2대를 파괴했다”고 덧붙였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