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못한 男, 많을 수 밖에..." 미혼 남녀 성비 불균형 '심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거 남아선호사상 등의 영향으로 1970~1990년대 남녀 출생아 성비에 큰 격차가 생기면서, 현재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20%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성비의 불균형은 남녀 간 미혼율의 차이로도 나타났다.
이처럼 미혼 남녀의 성비가 치우친 것은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랜 기간 지속됐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주미 기자 ]
과거 남아선호사상 등의 영향으로 1970~1990년대 남녀 출생아 성비에 큰 격차가 생기면서, 현재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20%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은 17일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449호)를 통해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성비'(조성호 부연구위원)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1년을 기준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 6%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혼 남녀가 최대한 많이 매칭되어도 미혼 남성이 많이 남게 되는 것으로, 인구학적으로 볼 때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결혼하기 힘든 구조인 셈이다.
미혼 남녀 불균형 현상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훨씬 심각한 수준이었다.
미혼 남성의 과잉 비율은 서울이 2.5% 수준이었고 부산도 16.2%로 평균보다 낮았지만, 경북(34.9%), 경남(33.2%), 충북(31.7%)은 30%를 넘었다.
결혼성비의 불균형은 남녀 간 미혼율의 차이로도 나타났다. 2020년 시점에서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은 남성이 46.5%로 29.1%인 여성보다 훨씬 높았다.
이처럼 미혼 남녀의 성비가 치우친 것은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랜 기간 지속됐기 때문이다.
출생성비(출생 남아가 여아보다 많은 상황)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해,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07년부터 자연성비 범위가 됐다.
이 여파로 1990년대 초반부터 결혼성비 불균형이 나타났고, 2000년대 중반 이후엔 더 심해졌다.
남아 출생이 많았던 이유로는 남아선호사상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의 성 선택 욕구 증가(가족계획사업), 초음파 검사 등 자녀의 성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공급 등이 요인으로 지목된다.
보고서는 "결혼성비의 불균형이 특히 심각한 지역은 1980~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