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中에 북-러 군사협력 우려 전달 방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8일 한중 '2+2' 외교안보대화가 서울에서 열린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어느 정도 가시화된 상황에서도 중국은 (외교안보대화) 날짜 변경을 요구하지 않았다"면서 "그만큼 한중 협력 기류 속 북한과의 관계는 다소 냉랭해졌다는 방증"이라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 방북 당일 외교안보대화가 가동되는 만큼 북한의 혈맹인 중국이 북-러 정상 회동에 대해 어떤 속내를 드러낼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푸틴 방북 당일, 中 속내 관심
18일 한중 ‘2+2’ 외교안보대화가 서울에서 열린다. 외교·국방 라인에서 각각 양국의 차관·국장급이 회동하는 것으로, 2015년 이후 9년 만에 다시 개최된다. 특히 이날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한다고 크렘린궁이 발표한 만큼, 우리 정부는 중국 측에 북-러 군사협력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건설적 역할을 촉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에 외교안보대화를 가동하는 방안은 중국에서 먼저 제안했다고 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어느 정도 가시화된 상황에서도 중국은 (외교안보대화) 날짜 변경을 요구하지 않았다”면서 “그만큼 한중 협력 기류 속 북한과의 관계는 다소 냉랭해졌다는 방증”이라고 전했다. 19일로 예정된 신창싱(信長星) 장쑤성 당서기 방한 일정 역시 중국 측에서 변경을 요청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외교 채널에선 우리 측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 중국 측 쑨웨이둥(孫衛東) 외교부 부부장(차관급)이 수석대표로 나선다. 국방 채널에선 국장급 관료가 참석한다. 앞서 2013년 6월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시작된 외교안보대화는 2013년과 2015년 국장급으로 두 차례 열린 뒤 2016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한중 관계 경색으로 중단된 바 있다.
푸틴 대통령 방북 당일 외교안보대화가 가동되는 만큼 북한의 혈맹인 중국이 북-러 정상 회동에 대해 어떤 속내를 드러낼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13일 ‘원칙적 환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공식적으론 중국이 북-러 정상 회동은 양자 간 문제라는 기본 입장을 언급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전례상 이를 대외적으로 공개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푸틴 18일 방북…러 “北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준비”
- [이철희 칼럼]‘난폭자’ 김정은-푸틴의 위험한 合作
- ‘이재명은 합니다’ 이제 그 말이 무섭다 [김지현의 정치언락]
- [사설]“통상임금 항목마다 大法서 판결해야 하는 나라가 어딨나”
- [사설]실손보험 손해율 128%… ‘비급여’ 개선 없인 의료개혁 어렵다
- 서울아산병원 교수들 “내달 4일부터 휴진…일단 1주일”
- 암슬러 격자의 직선이 휘거나 끊어져 보인다
- 한동훈 출마 임박에… 친윤 “檢중간간부에 불과하던 사람” 공세
- 김정숙 여사, ‘인도 방문 의혹 제기’ 배현진 의원 고소
- [사설]“기부도 죽음도 알리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