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콘서트] 며느리의 ‘매운맛’으로 시장 제패…불닭볶음면 성공 뒷이야기

KBS 2024. 6. 17. 18: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입안을 불타오르게 만들었던 불닭볶음면입니다.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매운 맛을 제대로 보여주며 이젠 베스트셀러가 됐습니다.

한국의 매운 맛이 어떻게 세계 시장에서 통할 수 있었는지, 개발 과정에 얽힌 뒷 이야기도 들어보겠습니다.

최의리 삼양라운드스퀘어 브랜드전략실 실장 나오셨습니다.

[앵커]

여의도 증권가에서는 제2의 엔비디아라고 삼양을 삼비디아라고 한대요.

별칭 어떠세요?

[앵커]

삼양라운드스퀘어로 이름을 바꿨네요.

보통 개명은 뭔가 일이 안풀리거나 힘들때 하는건데, 바꾼 이유가 있나요?

[앵커]

한국 라면이 수출 신기록을 달성한데는 쌍두마차가 있었고 그 중의 하나가 삼양.

일등공신은 불닭볶음면, 그 인기를 어디서 실감하세요?

[앵커]

세계가 매운맛에 스며들었다고 해도과언은 아니던데, 어느 나라 몇 개 국가로 수출되는지?

[앵커]

이제는 매출 대부분이 해외에서 나온다고 봐야 할 거 같은데요?

[앵커]

불닭볶음면 국내단가 약 1,500원, 수출단가 약 3,700원, 수출 비중이 높아질수록 이익이 증가하는 환경?

[앵커]

사실 미국인들은 후추도 맵다고 하거든요.

매운 맛이 낯선 이들도 분명 있었을텐데, 이런 현상을 예상하셨나요?

비결은 뭘까요?

[앵커]

매운 맛은 스코빌 지수, 수치로 측정가능하니까 챌린지 도전 이런게 더 확산됐던 것 같고?

[앵커]

미국 시장 기준으로 라면 원조인 일본과 한국 라면 어디가 더 우위입니까, 점유율 기준?

[앵커]

한국 라면이 일본을 넘어서려면 어떤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시는지?

[앵커]

불닭볶음면은 종류가 또 다양하잖아요.

최근에 일반 불닭볶음면 말고 또 반응 좋은 게 있을까요?

[앵커]

브랜드 탄생의 숨은 주역은 누굽니까.

개발 과정의 뒷 이야기나 에피소드 궁금해요.

[앵커]

실장님은 이 과정서 어떤 역할?

[앵커]

불닭이라는 브랜드는 독보적인 매운맛과 더불어 국가별 다양한 맛, 컬러풀한 패키지가 특징이죠.

제품을 생산 시 어떤 점을 고려해서 국가별 맛을 탄생시키나요?

[앵커]

지금의 분위기라면 앞으로 한국 라면에 대한 수요는 더 커질 가능성이 농후한데, 이 부분은 어떻게 준비하고 계시나요?

(밀양 신공장) 기존 대비 공격적인 케파 증설, 해외 매출 자신감?

[앵커]

1분기 매출 공개 후 주가가 고공행진하면서 30년 만에 업계 1위를 탈환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도 농심과 차별화, 원가율 개선 비결은 뭘까요?

농심은 어떤 전략으로 1위 자리를 유지할 걸로 보시는지?

상대사 전략 중에서 우리도 벤치마킹 해보고 싶다 하는게 있으신지?

[앵커]

포스트 불닭볶음면은 뭐가 될지?

[앵커]

한국 라면 성장세 어떻게 전망하시는지?

[앵커]

덴마크 핵붉닭볶음면 리콜 조치, 어떻게 대응하실 계획인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