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집단휴진 돌입하는 의료계…국민 피해 진정 외면할 건가

연합뉴스 2024. 6. 17. 16: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 무기한 집단휴진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일부 외래 진료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등 조치가 시행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날 암병원 내 일부 진료센터는 교수도 환자도 없어 의료공백이 현실화한 모습을 보였다.

병원을 찾은 일부 환자들이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는 사례도 등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휴진을 시행하며 환자분들께 드리는 글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17일 오전 서울대학교병원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쓴 '휴진을 시행하며 환자분들께 드리는 글'이 붙어 있다. 이날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은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2024.6.17 nowwego@yna.co.kr

(서울=연합뉴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 무기한 집단휴진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일부 외래 진료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등 조치가 시행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날 암병원 내 일부 진료센터는 교수도 환자도 없어 의료공백이 현실화한 모습을 보였다. 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에는 '진료가 없다'는 안내 팻말이 붙었고 소화기내과 앞 전광판에는 진료의 3명 중 1명이 휴진이라고 안내됐다. 병원을 찾은 일부 환자들이 제때 진료를 받지 못하는 사례도 등장했다. 심장질환을 앓아온 한 환자는 진료 일정을 잡으러 병원에 왔지만, 내년 8월에나 진료받을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도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의대 비대위 측은 "이미 의료 붕괴가 시작됐는데 정부가 귀를 막고 도대체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며 "마지막 카드는 전면 휴진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도 18일 집단 휴진을 계획하고 있다. 이른바 '빅5' 병원 등 전국 의대 교수들도 의협이 주도하는 집단 휴진에 합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은 27일부터 무기한 휴진도 예고해 둔 상태다. 의료계의 진료 공백 사태가 악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로 인해 환자와 국민 피해가 가중되는 건 자명한 일이다. 설사 의료계의 요구가 아무리 정당하더라도 환자를 외면한 집단 휴진 결정은 옳지 않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내야 할 의사의 본분을 진정 외면하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집단 휴진 사태를 규탄하며 즉각 철회를 재차 촉구하고 나섰다. 절박한 처지에 놓인 환자와 가족의 호소를 저버려선 안 될 일이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집단휴진 사태와 관련해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뇌전증지원병원협의체는 "환자를 돌봐야 하는 의사들이 환자를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만병의원협회와 아동병원협회도 의료 현장을 떠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집단 휴진이 가시화하는 와중에 진료 현장을 지키겠다는 의사들도 남아 있다는 건 다행스럽다. 의사가 환자의 곁에 있어야 한다는 건 어떤 명분으로도 저버려선 안 되는 기본 전제임은 분명하다.

의사 단체들은 집단휴진 철회 조건으로 의대 증원 재논의를 포함한 요구안을 제시하며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해 집단 휴진에 따른 구상권 청구 등을 병원 측에 요청하며 맞서고 있다. 환자단체들은 집단 휴진과 관련한 고소·고발에 나설 움직임을 보인다. 그간 지속돼 온 논란과 갈등의 쟁점이 지금껏 변함없이 노정돼 있으니 답답한 형국이다. 무엇보다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을 해소할 실마리를 찾는 일이 절실하다. 몇 달째 사태를 원만히 풀지 못하고 있는 정부의 책임도 무겁다. 정부와 의료계는 대화와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실효적인 협의에 당장 나서야 한다. 의료계는 의료 체계의 파행을 심화시키는 집단 행동을 즉각 철회하고, 정부도 의료 개혁의 현실과 미래상을 두루 염두에 둔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고 제시해야 한다.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