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담금 높여도 비급여 진료 늘어…4세대 실손 손해율 134%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올해 1분기 13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5개 손해보험사의 올해 1분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8.0%로 작년 동기(126.3%) 대비 1.7% 상승했다.
2021년 도입된 4세대 실손보험은 과잉 진료를 억제하기 위해 진료비 자기부담비율이 높게 설계됐지만, 손해율은 급등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올해 1분기 13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비급여 자기부담금을 높였지만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등 비급여 주사료 항목에서 과잉진료가 계속되면서로 분석된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5개 손해보험사의 올해 1분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8.0%로 작년 동기(126.3%) 대비 1.7% 상승했다. 100% 넘는 손해율은 실손보험사가 적자를 내고 있다는 의미다.
2021년 도입된 4세대 실손보험은 과잉 진료를 억제하기 위해 진료비 자기부담비율이 높게 설계됐지만, 손해율은 급등했다. 2021년 62.0%, 2022년 88.8%, 2023년 115.5%, 올해 1분기 134.0%로 치솟고 있다.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비급여 주사료 등 비급여 항목이 손해율 급등의 요인으로 지목된다.
5개 손보사의 올해 1~5월 실손보험금 지급액은 총 3조84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늘었는데 이중 비급여 지급액은 2조258억원으로 11.3%, 급여 지급액은 1조6385억원으로 11.0% 증가했다.
2023년 전체 실손에서 급여 지급액이 20.7% 늘고, 비급여 지급액은 2.0% 늘어났던 것과 비교하면 비급여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2023년 전체 실손 지급액 증가율은 9.2%였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최인수 기자 eco@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필리핀 이모님' 206만원? "그 돈이면…" 갑론을박
- 황보라 "의료파업 때문에…제왕절개 너무 아팠다"
- 이상민 아픈 가족사 "친동생 있었는데 기억 못해"
- 수학대회서 직업고교생이 명문대생·AI 제쳐…"천부적 재능"
- 배우 김진경-국대 골키퍼 김승규 오늘(17일) 결혼…"꿈에도 몰랐다"
- '코로나 재앙' 또 오나…사망률 최대 50% 조류인플루엔자 대유행 경고
- 직접개발 허용, 지분한도 폐지…REITs 활성화 방안 발표
- LA서 세과시 바이든 "아무것도 안해도 트럼프보단 나아"
- 中 5월 소매판매 3.7%, 산업생산 5.6% 증가
- 제주시내 한복판서…불법 도박장 운영 조폭 일당 '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