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가 "국제적으론 일본해"?…'AI 주권' 경쟁 시대

홍영재 기자 2024. 6. 17. 07: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인 챗GPT에 우리 동해를 어떻게 부르냐고 물었더니 일본해라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이런 인공지능이 전 세계적으로 쓰이고 있고 또 앞으로 활용될 영역이 더 커질 걸로 예상되는 만큼 AI 주권을 지키는 게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생성형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편향적이거나 부정확한 답을 내놓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인 챗GPT에 우리 동해를 어떻게 부르냐고 물었더니 일본해라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이런 인공지능이 전 세계적으로 쓰이고 있고 또 앞으로 활용될 영역이 더 커질 걸로 예상되는 만큼 AI 주권을 지키는 게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홍영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도에 한반도 동쪽 바다를 표시한 뒤 챗GPT에 이름이 뭐냐고 영어로 물었습니다.

대답은 'Sea of Japan'.

다시 'East Sea', '동해'가 아니냐고 묻자 일반적으로 'Sea of Japan'이라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동해'라고 한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삼국지'의 주요 인물이기도 한 조조가 고구려를 침략한 이유를 묻는 일종의 유도 질문에는, 실제 침략이 있었던 것처럼 말하더니 질문을 살짝 바꾸자 침략한 적이 없다고 고쳐 답했습니다.

GPT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90%는 영어로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성형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편향적이거나 부정확한 답을 내놓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미국 빅테크들이 개발한 AI 서비스에 장기간 노출될수록 단순한 기술 종속을 넘어 그 세계관에 물들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국가 고유의 역사와 문화, 사회를 이해하는 자국어 언어 모델을 비롯해, 자체 AI 학습 데이터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소버린 AI', 즉 'AI 주권'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럽 국가들은 물론 일본, 인도, 사우디, 싱가포르 등 각국이 정부 지원 아래 자체 언어모델 개발과 컴퓨팅 역량 강화에 나선 것도 이 때문입니다.

[하정우/네이버 퓨처 AI센터장 : 만약에 발전소나 전기 같은 시설들이 모두 외국 기업에 의해서 운영된다고 했을 때 가격을 올렸을 때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없어지는 것과 거의 비슷한 맥락이라고 봐야 될 것 같고요.]

엔비디아 같은 AI 칩 개발 기업들은 빅테크에 이어 'AI 주권'을 지키려는 각국 정부의 AI 시스템 구축 수요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할 정도입니다.

[젠슨 황/엔비디아 CEO (지난 2월) : 모든 나라는 자신들만의 인공 지능을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주권 AI(Sovereign AI)'라는 개념이 등장한 이유입니다.]

우리나라도 자체 언어모델을 개발하고 보강하는 IT 기업들의 투자와 함께, 정부의 정교한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우,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최재영·강경림)

홍영재 기자 yj@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