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22% '쑥쑥' 커지는 印 전기차···현대차, IPO로 4조 조달 승부수 [biz-플러스]

서민우 기자 2024. 6. 17.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32년 전기차 시장 163조 규모 성장
정부 현지 생산 전기차 관세 15% 인하
현대차, 1년새 인도에 5조원 투자 발표
상장 예비서류 제출···印 증시 상장 본격화
기업가치 41조 목표로 4조원 조달 가능
세계 3위 인도 자동차 시장은 현대차가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경제 발전이 가속화하는 인도에서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 2위를 달성하고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하며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 나가고 있는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

정의선 현대차(005380)그룹회장은 지난 4월 인도 델리 인도권역본부 신사옥을 방문해 직원들과 타운홀 미팅을 갖고 “인도 권역은 현대차그룹의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곳 중 하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회장은 “아시아와 중동, 아프리카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인도를 글로벌 수출 허브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며 “인도권역의 중요성을 고려해 앞으로 더 큰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정의선(왼쪽 세 번째) 현대차그룹 회장이 4월 현대차 인도권역본부 델리 신사옥에서 열린 타운홀미팅에서 인도 권역 현지 직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그룹

인도는 현대자동차가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지난해 기준 인도의 자동차 판매량은 약 500만 대로 중국·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으로 떠올랐다. 최근에는 정부 주도의 강력한 전동화 전환 정책까지 더해지며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기회의 땅’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차는 연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 법인의 기업공개(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전기차 생태계 구축에 투입하며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해나갈 방침이다.

현대차 인도법인, 4조 IPO 추진···인도증시 사상 최대 규모
현대차의 인도 첸나이 공장은 연간 82만 4000대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 인도 현지 법인은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해 IPO 관련 예비 서류인 ‘투자설명서(DRHP)’를 제출했다. 현대차는 투자설명서의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로이터 등 주요 외신은 현대차가 보유한 인도 법인 주식 8억 1200만 주(100%) 중 최대 1억 4200만 주(17.5%)를 매각해 최대 30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IPO를 위해 신주를 발행하지 않고 기존에 현대차가 갖고 있던 지분의 일부를 시장에 판매하는 ‘공개 매각’ 방식을 통해서다. 공개 매각 지분율을 역산하면 현대차 인도 법인의 기업가치는 약 300억 달러(41조 원)에 이른다. 이 같은 규모로 IPO가 성사되면 2022년 25억 달러를 조달한 인도 국영 보험사 인도생명보험공사(LIC)를 뛰어넘는 역대 최대가 된다.

통상 인도 증시에서 최초 투자설명서가 제출된 후 상장까지 걸리는 시간은 최대 90일 정도다. 늦어도 올 10월까지는 상장 작업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인도 법인 상장 계획 등을 금명간 공식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 전기차 시장 2032년 163조 성장···中 전기차 안전지대 매력
현대차 첸나이 공장의 현지 직원들이 차량을 조립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지난해 현대차인도법인(HMI)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9200억 원으로 9곳의 현대차 해외 법인 가운데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판매량은 76만 5876대로 9% 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내수 판매도 60만 2111대로 처음으로 60만 대를 넘어섰다.

현대차가 주목하는 것은 전기차 시장의 잠재력이다. 인도 전기차 시장은 아직 절대적인 판매량은 적지만 정부의 강력한 전동화 전환 정책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다. 2020년 5000대 수준에 불과했던 인도의 전기차 판매량은 2021년 1만 5000대, 2022년 4만 8000대, 지난해 9만 대로 매년 2배 이상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글로벌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는 인도의 전기차 시장이 2032년까지 연평균 22.4%씩 성장해 1177억 8000만 달러(약 163조 5964억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인도 전기차 시장이 저가의 중국산 전기차로부터 안전지대라는 점 역시 매력적이다. 인도와 중국은 정치적으로 앙숙 관계다. 1962년부터 국경 분쟁을 벌였고 2020년에는 유혈 사태로 양국에서 4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외교 관계가 냉각 상태다. 최근에는 인도 정부가 중국의 비야디와 장성기차의 투자를 불허하기도 했다. 전기차 육성에 정부 정책이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면 현대차에는 호재다.

인도정보, 2030년 전기차 판매 비중 30%목표···현대차, 1년새 5조 투자 발표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전시장. 연합뉴스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강력한 전동화 정책도 펼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인도에 5억 달러(약 69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3년 안에 전기차를 생산하는 완성차 업체에 수입차 관세 혜택이 부여된다. 인도는 수입차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전기차를 현지 생산하는 업체에는 관세를 15%까지 낮춰준다. 현대차가 최근 1년 사이 인도 지역에 5조 원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밝힌 것도 이런 연장선이다. 투자 계획에는 현지 내연기관 공장의 생산능력 확충도 포함돼 있지만 대부분이 전기차 생태계 구축 용도다.

현대차는 지난해 5월 첸나이 생산 공장이 위치한 타밀나두주와 2032년까지 3조 2000억 원의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연간 17만 8000개의 전기차 배터리팩 조립 공장을 짓고 향후 5년 안에 타밀나두주 주요 고속도로 거점 100여 곳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올해 1월에는 약 2조 원의 추가 투자 계획도 내놓았다. 현대차는 타밀나두주에 전기차 전환 지원과 수소 밸리 혁신 허브 구축을 위해 9900억 원을 추가 투자하고 지난해 8월 인수 계약을 체결한 탈레가온의 옛 GM 공장의 자산 인수 완료와 시설 현대화를 위해 96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최근 1년 사이 현대차가 인도의 전동화 전환과 관련해 밝힌 투자 금액만 무려 5조 1500억 원에 이른다. 현대차는 인도 법인의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인도의 전동화 전환 투자에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도 현지화···2030년까지 5개 전기모델 투입
양희원(오른쪽부터)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사장이 지난 4월 남양연구소에서 만다르 브이 데오 엑사이드 에너지 CEO, 정덕교 현대차·기아 전동화부품구매사업부 정덕교 상무와 인도 전용 전기차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차는 올해 하반기에 인도 첫 현지 생산 전기차를 선보이며 인도 전기차 시장 성장에 본격적으로 대응한다. 올해 말 첸나이 공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 양산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5개의 전기차 모델을 투입할 예정이다. 현대차 판매 네트워크 거점을 활용해 2030년에는 전기차 충전소를 485개까지 확대한다. 기아도 2025년부터 현지에 최적화된 소형 전기차를 생산하고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도 병행한다.

최근에는 양 사가 인도 배터리 전문 기업인 엑사이드에너지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도 전용 전기차 모델에 현지 생산 배터리 탑재를 추진하고 있다. 전기차 원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배터리를 현지화해 가성비가 중요한 인도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현지 전동화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복안이다.

정 회장은 “인도 시장에 특화된 전기차 개발과 전기차 인프라 확충을 통해서 전동화에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면서 “전기차 보급이 본격화되는 2030년까지 인도의 클린 모빌리티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ingagh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