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오지마" 데이터센터 건립, 美선 환영 왜? [이미연의 발로 뛰는 부동산]

이미연 2024. 6. 16. 1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IDC) 세종시 집현동 각 세종의 서버실 전경. 사진 연합뉴스
안양 호계효성아파트 주민들이 내걸었던 '데이터센터 결사반대' 플랫카드 모습. 사진 연합뉴스

"데이터센터 건립은 대량의 전력소비,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고압선 전자파 발생 등 지역 피해 가능성을 가진 반면, 정작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기여는 전혀 없어 주민들의 우려가 크다."(김포 구래동 데이터센터 착공 반대문 일부)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발로 뛰는] 코너로 뵙습니다. 이번 시간은 최근 몇년간은 물론 올해 초에도 시끌시끌한 이슈였던 '신규 데이터센터 건설' 이슈입니다.

국내에서 데이터센터는 전자파 발생 등의 유해성 우려에 '필요하긴 하지만 우리 동네는 싫다'는 혐오시설로 급부상(?) 중입니다. 이에 건설사 혹은 리츠 등이 인허가를 받아놓고도 착공을 하지 못해 세월아네월아 사업이 밀리며 님비(NIMBY, Not In My Backyard) 현상에 푹 잠겨있다고나 할까요.

우선 네이버 사례부터 보실까요. 2019년 경기도 용인시에 데이터센터를 세우려 했던 네이버는 주민 반발에 못이겨 결국 세종시로 옮길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지난해에는 효성그룹이 경기 안양시에서 추진하던 데이터센터 건립 사업을 중단했고, 올해 초에는 김포 구래동에서 착공 사업에 대한 주민 반발이 계속되자 김포시의회까지 나서서 성명문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앗뜨거워라. GS건설이 시행과 시공을 맡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 덕이동 데이터센터 역시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가 현재진행형입니다. 해당 부지 인근의 탄현동 입주민들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구성해 "각종 유해물질 배출로 주민들의 피해가 불가피한 만큼 행정당국은 사업 허가취소와 아울러 대체 부지를 선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고, 대통령실에 전달하기 위한 탄원서까지 모으고 있다고 하네요.

여기가 끝이 아닙니다.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데이터센터 예정지는 주민들이 해당 센터 건립 취소를 요구하는 행정심판을 접수했습니다. 이에 이동환 고양시장이 "주민들이 요구하는 직권취소에 대해 법률적 검토를 관련 부서에 지시했다"고 보도됐으나 고양시에서 뒤늦게 정정보도를 내는 해프닝까지 발생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지자체로부터 건립 인허가를 받았음에도 첫 삽조차 뜨지 못한 케이스가 적지 않습니다. 최근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세빌스코리아가 발표한 리포트에 따르면, 현재 인허가를 받은 사업 중 약 35%가 1년 이상 착공조차 못하고 있고, 그나마 공사가 진행 중인 사업 중 약 30%는 인허가 후 착공까지 1년 이상의 기간이 걸렸다고 하네요. 어휴 1년이면 이자비용만 해도 부담이 꽤 클 것 같은데요.

이런 데이터센터가 한국과는 달리 미국에서는 꽤 다른 대접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달이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이 11월 대선을 앞두고 경합주인 위스콘신을 찾아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는데요. 백악관은 이번 투자로 건설직 등 최소 23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2000개의 안정적인 일자리가 공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브래드 스미스 MS 사장 역시 "33억 달러(한화 4조5000억)를 투자해 4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며 "확실하게 약속을 지키겠다"고 재차 확언하기도 했다고 하네요.

이런 행보에 미국 현지 매체들은 데이터센터 건립 후의 전력난 등을 우려하면서도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해서는 환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왜 이런 그림이 전혀 그려지지 않는 걸까요.

앞서 잠깐 언급한 부분 기억하시나요. 세빌스코리아 분석에 따르면, 과거 4년간 기간통신사업자(KT, LG U+, SKB 등 통신사)와 IT 서비스사업자(삼성SDS, LG CNS 등 데이터센터 관련)에 의해 개발된 데이터센터들의 경우 인허가 후 평균 4~5개월 내 착공했다는데요. 데이터센터가 재무적 투자자나 건설사들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한 최근에는 사업진행이 수월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난항의 주요 원인으로는 데이터센터 운영사업자 확보의 어려움과 주민 민원으로 인한 인허가 지연 및 공사 중단 등으로 조사됐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Project Financing) 대출 실행을 위해서는 임차인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데이터센터의 최종 임차인은 사실상 몇몇 글로벌 CSP(Cloud Service Provider)로 한정된터라 신규 프로젝트는 선임차인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주민 반발도 꽤 큰 난관으로 떠올랐습니다. 안정적인 전력공급 문제 등으로 데이터센터 역시 수도권으로 몰리는 상황인데, 주거시설과 그리 멀지 않은 입지가 선정되다보니 전기파 등의 우려가 더 크게 부각되는 모양새입니다. 건설주체 등이 향후 전자파 노출 영향 등에 대해 제3자 검증기관을 통해 리포트를 발표해도 불안감이 전혀 가시지 않는 상황인거죠.

일정 규모 이상의 데이터센터 구축 시 인근 지역주민들의 의견수렴을 의무화한다는 내용의 '전기통신사업법' 일부개정안이 지난 국회에서 발의됐었지만, 최근 다시 같은 내용의 법안이 나오는 걸보니 아직 갈 길이 멀어보입니다.

이쯤에서 이번 시간을 마무리할까 하다가 잠깐 발상의 전환을 한번 해봤습니다. 지역소멸 이슈가 심각한 지역에 전력 인프라 등이 우선적·안정적으로 깔리게 된다면? 수요가 점점 급증하는 신규 데이터센터 건립이 지방으로 눈을 돌리는 동시에 MS 사례처럼 일자리창출까지 이어져 범국가적 고민이 좀 줄어지지 않을까-라는 희망회로입니다. 너무 멀리갔다구요? 에이 이렇게라도 하나하나 새로운 아이디어들 함께 틔워보시죠. 그럼 이만 총총.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