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속, 어째 빚만 느나 했더니 “생활비 부족하지, ‘내 집’ 마련해야지” 줄어들래야

제주방송 김지훈 2024. 6. 16. 1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고금리 상황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구들이 빚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처분 소득, 즉 쓸수 있는 돈이 줄어든 때문인데 그만큼 여윳돈이 부족해지면서 빚을 더 내야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빚을 더 늘린 가구 가운데, 기존 빚이 있던 가구만 추려 분석한 결과, 가처분소득이 5,926만원으로 1.5% 증가했지만 이자 비용이 532만 원으로 20.6%나 급증하면서 채무 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처분소득 감소, 생활비 충당 등 이유
고금리 여파에도.. 가계 부채 등 증가
부동산 구입 때문.→ 빚 증가 주요 원인
가계 건전성 악화 우려 커 “제도 강화”


지난해 고금리 상황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구들이 빚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처분 소득, 즉 쓸수 있는 돈이 줄어든 때문인데 그만큼 여윳돈이 부족해지면서 빚을 더 내야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부족한 생활비로 인해 빚을 냈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더불어, 부동산 가격이 둔화된 틈을 타 다시 빚을 내 부동산 투자를 하려는 수요 역시 동반 증가세로 나타나면서 계속 가계 빚을 늘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부채 증가 가구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부채 보유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연간 6,094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작년 고금리 속에서도 빚을 늘린 ‘부채 증가’ 가구는 가처분소득이 연 5,715만 원으로 1.9% 감소했습니다. 통계청의 2021~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 결과를 산출했습니다.

빚을 더 늘린 만큼 금융부채 규모는 1억 3,336만 원으로 1.2% 늘고 이자 비용도 416만 원으로 18.4%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부채 증가’ 가구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DTA)은 30.4%로 3.5%포인트(p) 늘어 전체 부채 보유 가구(25.8%)보다 부채 비율이 더 높았습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33.9%로 3.3%p 상승한데다 전체 부채 보유 가구(32.6%)보다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빚을 더 지게 된 가구 중 3분의 2(73%)가 기존 빚을 보유한 상태에서 빚을 더 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빚을 진 이유를 살펴보니 부동산 구입을 위한 것이라 답한 비중이 28.7%로 가장 많았고 전년 대비 1.2%p 줄었습니다.

반면 생활비 목적이라고 답한 가구 비중은 27.1%로 4.8%p 급증했습니다. 그만큼 생계 유지를 위한 가구의 빚 부담이 더 늘었다는 얘기로 해석됩니다.

지난해 빚을 더 늘린 가구 가운데, 기존 빚이 있던 가구만 추려 분석한 결과, 가처분소득이 5,926만원으로 1.5% 증가했지만 이자 비용이 532만 원으로 20.6%나 급증하면서 채무 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의 DTA는 34.3%, DSR은 40.8%로 각각 3.1%p, 2.5%p 상승했습니다.

기존까지 빚이 아예 없었다가 지난해 고금리에도 신규 빚을 낸 가구의 경우엔 부동산 구입 용도가 무려 43.4%로 1.2%p 늘었습니다. 생활비 때문이라는 비중도 20.9%p 폭증한 35.5%를 기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보고서를 작성한 신지영 현대연 동향분석팀 선임연구원은 “부동산 구입이 부채를 새로 얻는 가구의 가장 주 요인인 동시에, 지난해 생활비 목적의 신규 차입도 크게 증가했다”라면서 “소득 분포를 기준으로 저소득층 신규 차입 가구의 비중이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나면서 투자 목적보다 소득 감소 등으로 인한 생계비 목적의 대출 가구가 유의미하게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해석했습니다.

실제 지난해 신규 차입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5,135만 원으로 11.2% 급감했습니다   

신 선임연구원은 “가계부채 증가세가 재확대되는 상황에서 저소득층의 채무 불이행 위험을 줄이기 위한 서민금융 제도 강화가 필요하다”라며 “앞으로 금리 하락이 예상되면서,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