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있었을땐 청와대서 민노총 만난후 소주도 한잔했는데”...대통령이 된 靑비서실장 [대통령의 연설]

문재용 기자(moon.jaeyong@mk.co.kr) 2024. 6. 16. 09: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지난 11일 역대 대통령 비서실장들을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정 실장은 "당면한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민생 현안들을 풀어나가기 위해 경륜 있는 대통령비서실장들의 지혜와 고견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직접 초청해 마련된 자리였다"며 "오늘 환담에서 역대 정부 비서실장들은 민생과 경제 회복을 위해 정부와 국회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주문했다"고 밝혔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지난 11일 역대 대통령 비서실장들을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정 실장은 “당면한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민생 현안들을 풀어나가기 위해 경륜 있는 대통령비서실장들의 지혜와 고견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직접 초청해 마련된 자리였다”며 “오늘 환담에서 역대 정부 비서실장들은 민생과 경제 회복을 위해 정부와 국회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주문했다”고 밝혔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부터 초청한 덕에 정 실장을 제외하고 보수정권과 진보정권의 비서실장이 딱 3명씩 초청됐는데요.

비서실장은 ‘정권의 실세’를 논할때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중요한 자리인 만큼, 양 진영의 주요 원로 정치인들을 모셔 통합의 메시지를 내비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됩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역대 대통령들이 비서실장을 언급한 사례들을 되짚어볼텐데요. 개인사적으로 유독 비서실장직과 인연이 깊었던 한 전직 대통령의 연설이 특히 눈에 띕니다.

정권 ‘Big 3’ 한자리...탕평인사 상징으로 활용
비서실장은 사실 정부활동의 전면에 나서서 활동하는 자리는 아닙니다. 대통령의 의중을 각종 기관에 잘 전달해 조율하는 기능이 익숙한데요. 그래서 대통령의 연설에서 굳이 언급되는 경우도 흔치 않죠.

대신에 비서실장 인선을 어떻게 했는지는 꽤나 자주 언급됐는데요. 이만큼 중요한 자리에 대통령과 다른 지역·노선의 인사를 배치했다고 홍보하는 식이죠.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98년 3월 ‘고위공직자와의 대화’에서 “소위 정권에 있어서 빅 스리(Big Three), 즉 최고로 중요한 자리라고 하는 총리, 안기부장, 그리고 대통령 비서실장이 전부 비호남 사람입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당시 비서실장은 경북 울진 출신인 김중권 전 실장입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5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비서실장 문제를 놓고 자꾸 노선 얘기를 하는데 이번 문제는 노선하고는 아무 관계없이 처리하고 있습니다. 저는 노선문제를 한 번도 생각해 본 일이 없습니다”라며 “치우침이 없는 국정이 좋지 않겠습니까, 국민들이 저를 약간 개혁 쪽으로 치우친 사람으로 보기 때문에 비서실장은 조금 덜 치우친 사람이 좋지 않겠습니까, 듣고 보니까 잘 된 것이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당시 비서실장인 김우식 전 실장을 계속 쓰는 것을 놓고 노 전 대통령이 개혁노선을 포기했다는 비판이 일자 이같은 입장을 내놓은 것이죠

문재인 “청와대에서 민주노총 만난것 10년만”
문재인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들 중 유일하게 청와대 근무이력을 갖고 있는 대통령입니다. 민정수석과 시민사회수석에 이어 막바지에는 비서실장까지 역임했죠.

이후 2017년 본인이 직접 대통령이 된 후에 주재한 첫번째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저로서는 10년 만에 수석・보좌관회의를 하는 것이라서 여러모로 아주 감회가 깊습니다”라며 과거 이력을 언급했습니다.

임명장 수여식(비서실장)(2007)
2018년 1월에는 민주노총 지도부 초청간담회를 개최했는데요. 여기서 문 전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대통령이 민주노총을 만난 게 무려 11년 만이라는 보도를 봤습니다. 참여정부 때는 청와대에서도 꽤 여러 번 만나고, 마치면 밖에 나가서 소주도 한잔하고 그랬습니다. 제가 비서실장이었고 이석행 위원장이던 시절에 만났던 게 마지막이었던 것같은데, 그게 참여정부에서만 마지막이 아니라 그 이후 10년 이상 그런 자리가 없었다는 게 진짜 놀라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의 성평등 인식은?’ ‘이명박 대통령이 기억하는 현대건설은?’…<대통령의 연설>은 연설문과 각종 기록을 통해 역대 대통령의 머릿속을 엿보는 연재기획입니다.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에 남아 있는 약 9000개 연설문을 분석합니다. 기자페이지와 연재물을 구독하시면 매주 정치현안에 대한 흥미있는 기사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