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에 흥건한 핏물이…핏빛 폭포 왜 생겼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남극 대륙에 새하얀 빙하에서 피가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폭포가 있다.
새하얀 빙하의 표면과 대비해 눈에 띄는 핏빛 색깔로 핏빛 폭포라는 이름이 붙었다.
매체에 따르면 폭포에 철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빙하에서 물이 나올 때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며 피처럼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소금물은 어는 점이 낮다는 특성 때문에 염분 함량이 높은 핏빛 폭포가 남극 환경에서 액체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이혜수 인턴 기자 = 남극 대륙에 새하얀 빙하에서 피가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폭포가 있다. 이 폭포는 상처에서 흘러나오는 피처럼 보여 '핏빛 폭포(Blood Falls)'라 불리고 있다.
16일 미국 라이브사이언스는 '핏빛 폭포'의 물 색깔이 피처럼 보이는 이유에 대해 전했다.
'핏빛 폭포'는 남극 대륙 빙하의 갈라진 틈에서 산발적으로 흘러나와 남극 동부의 보니 호수로 흐른다. 새하얀 빙하의 표면과 대비해 눈에 띄는 핏빛 색깔로 핏빛 폭포라는 이름이 붙었다.
핏빛 폭포는 1911년 테라노바 탐험에 참여한 토마스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 발견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테일러는 붉은 물이 분출되는 것을 발견하고 빙하 계곡에 자신의 이름을 따 '테일러 밸리(Taylor Valley)'라고 이름을 붙였다.
테일러를 비롯한 동시대 사람들은 물이 붉은 이유가 홍조류 때문이라 생각했지만, 현재는 연구를 통해 다른 원인이 발견됐다.
매체에 따르면 폭포에 철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빙하에서 물이 나올 때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며 피처럼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그리고 매우 온도가 낮은 남극에서 어떻게 물이 흐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빙하에 염분 함량이 높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소금물은 어는 점이 낮다는 특성 때문에 염분 함량이 높은 핏빛 폭포가 남극 환경에서 액체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물이 녹을 땐 주변의 열을 빼앗고, 물이 얼 땐 주변에 열을 방출한다는 특성이 있다. 빙하 아래 호수는 유난히 염도가 높아 어는 점이 낮고 얼면서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주변 얼음이 녹아 폭포가 흐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철분이 풍부한 소금물이 녹으면서 빙하가 피를 흘리는 것처럼 보이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soo1025@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날 구해준 분" 김범수, 11세 연하 아내 첫 공개
- 이현주 "혀 절단 후 알코올 중독…사이비종교 빠져"
- 김병만 전처 "내가 든 사망보험 4개뿐…전남편 살아있다"
- 유병재, '러브캐처4' 이유정과 열애하나…한소희 닮은꼴
- 학비가 무려 7억…이시영이 아들 보낸다는 귀족학교 어디
- 이경진, 건강이상설 "청력 이상 숨 안 쉬어져"
- "남성의 날 맞아"…타월 하나 '달랑' 걸친 女 광장서 댄스(영상)
- '61세' 이봉원 "사교육비만 月 150만원"
- 김범수, 11세연하 부인 첫 공개 "미모 빛나"
- "남편 유전자 아깝다" 자녀 9명 여성…7조 상속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