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카르코노셰 산맥 위의 ‘보랏빛 오로라’ [우주를 보다]

2024. 6. 15. 16: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상 최초였다.

적어도 이 사진가가 자신의 고향 산에서 오로라를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하지만 북위 50도 아름에 위치해 오로라를 보기에는 너무 남쪽이다.

위 사진은 오로라 정점에 찍은 6장의 수직 노출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태양 활동의 극대기를 맞아 폴란드의 카르코노셰 산맥 위에 펼쳐진 환상적인 보랏빛 오로라.(사진/Daniel Koszela)

사상 최초였다. 적어도 이 사진가가 자신의 고향 산에서 오로라를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참으로 멋진 오로라로, 6월 12일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영하는 ’오늘의 천체사진(APOD)에 그 사진이 게재되었다. ​

폴란드의 카르코노셰 산맥은 동부 유럽의 중앙부, 수데티 산맥 중에서 가장 높은 산맥으로 최고봉은 스녜슈카 산(1,602m)이다. 하지만 북위 50도 아름에 위치해 오로라를 보기에는 너무 남쪽이다. 그러나 5월 10~11일의 놀라운 밤에는 보라색과 녹색이 밤하늘의 대부분을 밝혔고, 이는 지구 주변의 중위도 지역 여러 곳에서도 나타나는 놀라운 광경이었다. ​

위 사진은 오로라 정점에 찍은 6장의 수직 노출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오른쪽에 있는 현대식 건물은 카르코노셰 산맥의 최고봉에 위치한 기상 관측소의 일부다. ​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하전 입자들이 지구의 고층대기의 기체들과 충돌하여 빛을 내는 현상이다. 지구 자기력선을 따라 대기로 낙하하는 하전 입자들(주로 전자)이 대기 중 원자 혹은 분자들과 충돌하면 이들이 들뜬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들뜬 기체들이 원래의 바닥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남반구와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서 주로 나타나며 각각 남극광 또는 북극광이라 부르기도 한다.​

오로라에서 드물게 보이는 보라색은 주로 태양이 방출한 고에너지 전자가 지구 대기의 질소 분자와 충돌하여 발생한다. 우리 태양은 향후 2년 동안 최대 활동기에 도달하고 있어 더 많은 오로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대부분은 지구의 극에 가까운 지역에서 발생할 것이다.

이광식 과학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