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펑 쓰던 미국인들, 허리띠 졸라맸다”…소비 위축, 금리 영향 촉각 [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
미국은 소비의 나라다. 미국 경제는 소비에서 시작해 소비로 끝난다. 과정은 이렇다. 사람들이 어느 순간부터 소비를 늘린다. 이유는 제각각이다. 자동차를 바꿀 때가 돼서 차를 사는 경우도 있고, 애플 아이폰 신제품이 나오면서 구매가 급증하는 경우도 있다. 소비가 늘어나면 기업들은 생산을 늘린다. 자동차나 휴대폰의 생산은 연관된 부품들의 생산 증가를 동반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경기는 상승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도 있다. 소비가 위축되면 생산이 줄어들고 경기는 하강곡선을 그린다. 미국에서의 소비는 경기의 하강과 상승 국면 초기에 나타나는 징후다. 모든 나라가 그런 것은 아니다. 국가별로 소비가 경기를 주도하는 나라가 있고 기업들의 투자가 주도하는 국가도 있다. 숫자를 보면 짐작할 수 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4년 1분기 기준으로 68.9%에 달한다. 이 비중은 민간투자(18.2%)나 정부지출(17.1%), 수출(11.1%)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GDP에서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46.3%정도다. 미국보다 20%포인트 이상 낮다. 반면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6.6%로 미국보다 4배 이상 높다. 이런 지표를 감안하면 우리나라는 수출이 경기를 주도하고 미국은 소비가 경기를 주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의 경제지표를 볼 때 소비를 가장 눈여겨 봐야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소비 감소는 2분기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4월 개인소비지출(PCE)은 전월보다 0.2% 증가하는데 그쳤다. 증가율로는 2024년 1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전달인 3월 증가율이 0.7%였던 것을 감안하면 하락세가 가파르다. 2017년 달러 가치를 기준으로 계산한 실질 소비지출은 4월에 0.1% 줄었다. 실질 소비지출이 준 것도 1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그동안 미국의 물가는 공급측면에서의 변동성을 반영해 출렁거렸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곡물 값이 큰 폭으로 오를 경우 미국에 공급되는 곡물 값도 인상돼 전반적인 물가상승으로 이어진다. 중동지역 정세 불안으로 유가가 오를 때도 마찬가지로 미국 물가를 끌어올린다. 공급 측면의 물가상승은 미국 내부에서의 정책으로 통제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소비가 위축됨으로써 경제 내의 수요가 줄어들어 물가가 하락하는 경우는 다르다. 경기 하강이 진행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내리는 정책을 펴서 경제 내의 수요를 늘리고 이를 통해 경기를 상승시키는 정책을 편다. 이 경우 금리인하- >경제 내의 수요증가- >경기상승- >물가상승 등의 경로를 따라간다.
소비가 줄어들면서 기업도 생산을 줄이고 이로 인해 경기가 하락할 것을 현장에서 예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다. 기업의 생산이 줄어들면 고용도 줄어들고 이 경우 임금도 하락한다. 실제 미국 4월 임금상승률은 0.2%를 기록해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임금이 줄어들면 소비는 더 위축되고 이로 인한 경기 위축 효과는 더 커진다. ‘소비감소- >생산 감소- >고용감소- >임금하락- >소비감소’의 악순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6월 발표된 비농업고용자수는 시장의 기대를 훨씬 뛰어넘는 27만2000명을 기록해 고용시장은 탄탄하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것들을 살펴보면 6월 미국경제에는 각종 지표들이 혼재돼있다.
1분기 GDP를 시작으로 4월 개인소비지출, 5월 제조업 PMI등 일련의 소비 생산 지표가 모두 경기하강을 예고하면서 미국 금융시장에서는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5월말 연4.6%까지 올랐던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6월 들어 4.3%대까지 하락했다. 반면 비농업고용자수가 발표되면서 미국 국채금리는 다시 상승세로 반전했다. 일반적으로 경기둔화가 예상되면 채권 금리는 떨어지고 경기 상승이 예상되면 금리는 올라간다. 이런 지표들이 미국 연준의 금리정책과도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한두 달 지표를 가지고 미국경제를 예단하기는 어렵다. 다만 6월 들어 일부 고용지표를 제외하고 소비지표에서 부터 시작해 생산, 경기지표까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부분은 분명 주목해 볼 만하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 커피 이미 마셨는데” 소비자들 멘붕…세균 검출에 판매 중단·회수 - 매일경제
- “뚜껑 열었다 기절하는 줄”…부부가 식당 밑에 두고간 페트병의 정체 ‘경악’ - 매일경제
- “이름이 사라졌네”…‘NGO단체서 인턴’ 아빠 꼭 닮은 이재용 회장 딸 근황 - 매일경제
- “한국에 들어오면 난리나겠네”…‘3억통’ 팔린 연기 안나는 담배의 정체 - 매일경제
- “전역하니 통장에 3200만원, 개꿀”...해외여행 준비하는 Z세대 장병들 - 매일경제
- “적당히 장사한단 생각 바꿔야”…‘바가지 논란’ 광장시장 간 유인촌의 일침 - 매일경제
- [단독] “추가 손실 가능성 대비”…위기의 새마을금고, 충당금 1.8조 더 쌓는다 - 매일경제
- “요즘 밤마다 보면 아주 흐뭇”…다시 불붙은 AI 랠리에 활짝 웃는 ‘이 종목’ - 매일경제
- “오빠 많이 외로워? 나랑 놀자”...1240만명이 선택한 中 10대소녀 앱, 알고보니 - 매일경제
- 미국 언론 “페이커 팬덤 수백만…신전 생길만해” [LoL]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