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속을 뻔" 도시락 480개 '노쇼' 부글부글…방지책 공유도

지영호 기자 2024. 6. 15. 1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빵집에 이어 군인 사칭까지 연이은 노쇼(예약 부도) 사건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면서 자영업자 사이에서 '노쇼 주의보'가 급속히 퍼지고 있다.

자영업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선처 없는 처벌을 관철시켜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노쇼 방지책을 공유하며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는 분위기다.

14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최근 발생한 노쇼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뜨겁다.

상황이 이렇자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선 노쇼 방지 노하우를 공유하는 글들이 주목받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쇼 방지 5계명/그래픽=이지혜

빵집에 이어 군인 사칭까지 연이은 노쇼(예약 부도) 사건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면서 자영업자 사이에서 '노쇼 주의보'가 급속히 퍼지고 있다. 자영업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선처 없는 처벌을 관철시켜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노쇼 방지책을 공유하며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는 분위기다.

14일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최근 발생한 노쇼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뜨겁다. 이 커뮤니티는 동네 빵집으로부터 '노쇼했다며 고소당했다'는 글이 올라온 최근 노쇼 사건의 중심에 있는 곳이다.

'확정 주문'이 아니었음에도 빵집 주인으로부터 노쇼를 했다고 고소당했다며 억울해했던 소비자는 엉뚱한 전화번호를 전달한 것이 드러나면서 가해자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앞서 이 손님은 자녀 학교와 학원에 돌릴 예정이라며 빵 280개, 123만원어치를 주문했다.

/사진=JTBC 사건반장 갈무리

충북 청주의 한 음식점에서도 노쇼 사건이 발생해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국방부 대령이라고 소개한 남성이 음식점에서 부대원의 사흘치 도시락 480개를 주문한 뒤 잠적한 사건이다. 음식점 주인은 주문한 남성이 카카오톡 프로필에 국방부 공무원증을 올리고 대대장 서명이 있는 지출결의서를 보여줘 믿을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하지만 이 남성이 납품업체에 980만원을 대납해달라는 요구에 의심했고, 송금하지 않자 잠적했다. 주인은 도시락과 재료비로 수백만의 손해를 입었다고 했다. 이런 방식으로 피해를 본 식당은 60여곳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이은 노쇼 사건이 발생하자 자영업자의 불안감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군인 사칭 주문을 경험했다는 자영업자들의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어 이런 분위기를 부채질한다. 한 자영업자는 "군부대 주문 7년을 받았는데도 속을뻔했다"며 "매우 치밀하다"며 혀를 내둘렀다.

상황이 이렇자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선 노쇼 방지 노하우를 공유하는 글들이 주목받고 있다. 자영업자 사이에서 공유된 노쇼 방지책으로는 △계약금 이체 받기 △주문내용·취소가능시각 등 문자로 남겨두기 △주문서 기록하기 △CCTV 설치하기 등이 거론된다. 이 커뮤니티에는 허위주문을 하는 군인의 활동명과 전화번호를 비롯해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와 대화내용, 계약서 사본 등이 공유됐다.

A음식점이 최근 군 소속 대령이라는 남성으로부터 받은 결제서류와 그의 프로필 사진./사진=KBS 뉴스 캡처

하지만 법인카드나 군부대 주문은 당일 결제만 가능해 선결제를 요구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이런 경우 주문을 거부해야 하지만 가뜩이나 매출이 감소하고 이익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단체주문의 유혹을 뿌리치기 쉽지 않다는 반응이다.

실제로 외식물가는 연일 오르고 외식 기피 현상이 확산하면서 빚을 못갚고 폐업하는 자영업자가 늘고있다. 1분기 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1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지난해 폐업자 수는 91만1000명으로 지난해 대비 11만1000명이 늘었다. 또 폐업한 외식업체는 17만6000여개로 전체의 21%를 기록했다.

정부는 2015년 음식점 예약부도율이 20%를 기록하고 외식업계 매출손실이 연 1조8000억원을 넘어서자 노쇼 근절 캠페인을 수년간 펼쳤지만 현재는 중단한 상태다. 당시 공정거래위원회와 소비자원은 "노쇼는 법과 제도를 통해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책임 있는 예약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지영호 기자 tellm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