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돈이면 호텔 하룻밤인데”…없어서 못먹는다는 ‘럭셔리 빙수’ [여프라이즈]

신익수 기자(soo@mk.co.kr) 2024. 6. 15. 10: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름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빙수. 그래서 간다. 여행 서프라이즈, 여프라이즈 이번 편은 ‘억’ 소리나는 빙수 랭킹이다. 솔직히, 가격 보면 억 소리 대신 ‘욕’소리가 나올 수도 있다. 그래도 팔린다는 데 어쩌겠나. 참으로 대단한 빙수 사랑이다.

최초로 13만원을 찍은 최고가 빙수 시그니엘 서울 애플망고 빙수.
빙수의 역사, 알고봤더니...
본격적 가격 랭킹 분석 전에, 일단 빙수의 역사부터.

첫 빙수는 기원전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사실상 인류와 함께 한 여름 간식인 셈. 중국에서 눈과 얼음에 꿀, 과일즙을 섞어 먹은 것이 유래라고 한다. 이탈리아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도 빙수의 기록이 등장한다. ‘중국 베이징에서 최초로 시작된 얼음 우유를 베네치아로 가져가 전했다’는 기록이다.

한국에선 조선시대부터 빙수의 존재가 부각된다. 조선시대 얼음은 왕이 하사해야 맛볼 정도로 귀한 존재였지만, 일제강점기 제빙 기술이 도입되자 빙수는 대중적인 음식이 된다.

1921년 동아일보 보도가 흥미롭다. ‘경성에 일본인이 운영하는 빙수집이 187곳, 조선인이 운영하는 빙수집이 230곳으로 도합 417곳’이라고 취재내용을 내 보낸 것이다.여름철 고위 관료만 맛보던 호사를 이미 누구나 즐기고 있던 것이다.

이때부터 빙수는 수십년 간 서민의 여름 별미로 활약한다. 빙수는 종류도 각양각색이다. 그중 팥과 떡을 고명으로 얹은 ‘팥빙수’가 주류를 이룬다. 여름철 빵집에서는 팥빙수를 시즌 메뉴로 내놨고, 집에서도 팥과 얼음을 얹은 빙수를 만들어 먹었을 정도.

1990년대 외식산업이 발전하면서 프랜차이즈 식당에서도 빙수 메뉴가 등장했고, 팥을 즐기지 않는 소비층을 겨냥해 과일과 젤리를 올린 빙수들이 속속 나오기 시작한다.

빙수의 역사와 운명을 함께 한 업체들의 흥망성쇠도 눈길을 끈다. 과일이 듬뿍 담긴 빙수로 2000년대 인기몰이를 했던 캔모아는 커피 열풍에 밀려났고, 1초에 수십그릇이 팔려나갔던 팥빙수 제왕 밀탑도 2021년 현대백화점 매장을 철수하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지금 익숙한 설빙의 등장은 2010년 부산에서 시작한 퓨전 떡 카페 ‘시루’가 원조다. 인절미 빙수를 내놓으며 ‘설빙’ 브랜드를 시작한다. 이어 2018년 빙수 업계 최초로 배달 애플리케이션에 입점한 설빙은 빙수를 사시사철 즐기는 K디저트로 자리매김시킨다.

특급호텔에 빙수 경쟁이 본격화 한 건 2008년부터로 본다. 제주 신라호텔은 제주 망고 농가를 돕기 위해 ‘로컬 식재료 발굴’ 프로젝트를 통해 빙수를 선보였다. 이게 입소문을 타면서 2011년부터는 서울 신라호텔에서도 망고빙수를 팔기 시작했다. 이후 특급호텔들이 너도나도 고가 빙수 메뉴를 내놓으면서 ‘럭셔리 빙수’가 본격화 한다.

가장 비싼 빙수 1위는...
예상한 대로다. 특급호텔 빙수가 리스트 상위권을 휩쓸고 있다.

일단 가장 궁금한 1위부터. 6월 중순인 현재까지 출시된 빙수 중 가장 비싼 제품은 서울 잠실 시그니엘 서울의 애플망고빙수다. 가격? 놀라지 마시라. 무려 13만원. 웬만한 비즈니스호텔 하루 방값이다. 작년 여름에 12만7000원을 찍었으니, 2.4% 인상된 셈이다.

올해 최초로 10만원을 찍었던 서울신라호텔 애플망고.
여기서 잠깐. 그런데도, 웨이팅이 있다. ‘스몰 럭셔리(Small Luxury·작은 사치)’ 분위기를 타고, 인증샷 자랑질이 넘쳐나면서, 후기 또한 줄을 잇고 있다. ‘비싼 가격에도 대기가 있었다’는 후기, ‘호텔 망고 빙수 웨이팅 없이 먹는 방법’ 등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하루가 멀다하고 포스팅될 정도다.

2위는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의 애플망고빙수. 가격은 12만6000원이다. 호텔 빙수 중 두 번째. 역시나 웨이팅 각오해야 한다.

3위는 애플망고 빙수의 원조 서울신라호텔. 사실 올해 첫 10만원 돌파로 화제를 모았는데, 시그니엘과 포시즌스가 치고 나오면서 10만2000원의 현재 가격은 3위에 머물고 있다. 작년 여름에 9만8000원으로 10만원 턱밑까지 오르며 호텔업계 최고가를 찍었는데, 그 가격대비 4% 오르며 올시즌 첫 10만원을 찍는 기록을 세웠다.

여기까지가 10만원을 찍은 빅3 빙수. 나머지 호텔들도 줄줄이 10만원대에 육박하고 있다.

인천 영종도 파라다이스 시티는 9만5000원대 빙수를 내놓으며 신라호텔을 바짝 뒤쫓고 있다. 인천권역에서는 단연 원톱이다.

이밖에 JW메리어트동대문스퀘어서울이 9만3000원, 롯데호텔 서울이 9만2000원,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이 9만원으로 9만원대에 턱걸이 했다. 시그니엘 부산(8만원)과 안다즈 서울 강남(7만5000원) 그랜드 워커힐 서울(7만3000원)은 그나마 착한(?) 빙수 대열을 유지하고 있다.

파르나스호텔의 로비라운지 빙수. 3만원대로 비교적 착한(?) 수준이다.
가성비 호텔도 있다
호텔 중에서도 가성비를 내세우는 곳이 있다. 가성비라고 하는데, 일반인들에게는 살떨리는 수준이다.

우선 파르나스 호텔이 운영하는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로비 라운지’에서 올해 처음으로 선보인 ‘밤양갱 팥빙수’와 ‘토마토 빙수’의 1인용 가격은 3만5000원이다. 타 호텔에서 고가에 판매되는 망고 빙수도 1인용 메뉴로 양을 줄여 4만2000원에 선보이고 있다.

호텔 관계자는 “원래 1인용 빙수 자체가 없었다. 2022년까지 판매하고 중단했다”며 “엔데믹 이후 메뉴로 만들어달라는 민원이 많이 들어왔다. 현재는 전체 빙수 주문의 30%가 1인 빙수일 정도로 인기가 좋다”고 귀띔했다.

고가 빙수 시장의 문을 연 제주신라호텔은 지난 4월 한 달간 한정판으로 쁘띠 애플망고 빙수를 3만원에 판매한 적이 있다. 여름에 판매하는 애플망고 빙수와 같은 품종인 제주산 애플망고를 사용하는데, 기존 망고보다 사이즈가 작고 가격이 착하다.

카페·빵집 빙수도 1만원 찍은지 오래
호텔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프랜차이즈 카페도 만만치 않다. 1만원대가 수두룩이다.

투썸플레이스의 애플망고 빙수와 우리팥빙수는 각각 1만4000원, 1만2000원 씩이다. 작년보다 500원, 1000원 오른 가격대다.

이디야커피가 내놓은 1인용 빙수.
엔제리너스는 지난해 선보인 망고빙수(1만2000원)보다 2000원 비싼 가격으로 올해 신제품인 복숭아빙수(1만4000원)를 출시해 인기몰이 중이다. 평균 5~6만원대인 호텔과 비교는 안 되는 수준이지만, 일반인들의 점심 한그릇 값과 맞먹는다.

물론 할 말은 있다. 업계 관계자는 “원재료가 오른 데다 인건비 상승 요인이 작용했다”고 설명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빙수의 주재료인 국내산 팥의 중도매 가격은 5월말 기준 40㎏당 49만7400원 정도다. 전년 동기(40만4900원) 대비 20% 이상 비싸진 셈이다.

빵집 빙수는 어떨까. 역시나 1만원대 돌파다. CJ푸드빌의 뚜레쥬르는 지난달 말 여름 메뉴로 ‘말차밤양갱빙수’를 한정 출시했는데, 가격은 1만2500원이다. 앱에서 픽업하거나 배달로 구매하면 3000원 할인 쿠폰을 제공해 1만원대 아래 가격으로 먹을 수 있다. 애플망고빙수는 1만원에 판매한다.

파리바게뜨도 엇비슷한 수준이다. 지난달 복숭아빙수와 애플망고빙수를 출시해 1만900원에 판매하고 있다.

희망은 있다. 1만원대 이하로 빙수를 즐길 수 있는 곳도 있다. 이디야커피가 대표적이다. 가성비를 앞세운 ‘1인 빙수’ 3종을 판매 중이다. 팥인절미빙수, 망고요거놀라빙수, 초당옥수수빙수 등 라인업도 좋다. 1인 빙수의 가격은 6300원이다. 엔제리너스 팥빙수 2종도 7000~8000원대니, 먹을 만하다.

◆ 여프라이즈 = 매일경제신문 신익수 여행전문기자가 전하는 ‘여행 랭킹’ 시리즈물입니다. 경남교통방송(TBN) 라디오 매주 일요일 오후 4시40분 ‘오후N 티비N(강민규 MC)’ 별별 여행랭킹 코너(신익수 여행전문기자 전화연결)를 통해 귀로 들으실 수도 있습니다. 네이버 기자페이지 구독,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