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본 깨알지식 세계사

서경호 2024. 6. 15. 00: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는 돈이다
역사는 돈이다
강승준 지음
잇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00달러 지폐 한 장을 찍는 데 50센트 미만이 들어간다. 200배 이상의 엄청난 이익을 남기는 장사다. 이런 주조차익(鑄造差益)을 시뇨리지(seigniorage)라고 한다. 화폐와 중앙은행에 관심 있으면 알 수도 있는 얘기다. 그런데 시뇨리지가 ‘군주의 권한’이란 프랑스어에서 온 말이고 금·은의 순도를 떨어뜨려 차익을 챙긴 군주의 불량화폐 제조와 관련이 있음은 이 책 읽고 알았다. 황제를 뜻하는 독일어 ‘카이저’와 러시아어 ‘차르’ 모두 로마 장군 카이사르의 이름에서 나왔다. 이런 식으로 ‘한 발 더 들어간’ 백과사전식 깨알지식을 읽는 맛이 쏠쏠하다.

세계사는 힘의 논리로 흘러왔고 그 힘의 동인(動因)은 ‘돈’이라는 게 이 책을 관통하는 주장. 로마를 통일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313년 기독교를 공인한 것은 십일조의 전통이 있던 기독교인의 납세 순응에 기대 재정 악화를 타개하기 위한 것이었다.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을 지낸 강승준 한국은행 감사의 책이다. 역사와 영화를 좋아했던 예산통이 ‘덕업일치’를 이뤘다. 십자군 전쟁 설명에 리들리 스콧의 ‘킹덤 오브 헤븐’을 곁들이는 등 영화 얘기가 많다. 목차 보고 관심 있는 이슈를 찾아 읽는 발췌독도 괜찮겠다.

서경호 기자 praxis@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