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연체율, 저축은행 감싼 '부실의 그림자' [아카이브]

강서구 기자 2024. 6. 14. 18: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스쿠프 이슈 아카이브
대규모 적자 기록한 저축은행
1분기 당기순손실 1543억원
연체율 8.8%, 9년 만에 최고
10% 웃돈 고정이하여신비율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연체율이 8.80%를 기록했다.[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 업계에 드리운 위기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대규모 적자에 연체율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 1분기 79개 저축은행은 총 154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순손실 규모는 지난해 1분기(527억원) 대비 192.8% 급증했다. 여신규모가 축소하면서 이자수익이 2336억원 줄어든 데다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해 1326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한 게 손실 규모를 키웠다.

연체율은 더 심각하다. 국내 저축은행의 올 1분기 연체율은 8.80%로 지난해 말(6.55%) 대비 2.25%포인트 상승했다. 2015년 4분기 9.2%를 기록한 후 9년 만에 최고치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차주借主가 늘어난 탓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11.00%로 지난해 말 7.48% 대비 3.52%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은 5.01%에서 5.25%로 0.24%포인트 올랐다. 치솟은 연체율에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말보다 2.59%포인트 오른 10.32%를 기록했다.

저축은행의 경영 여건도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총자산은 지난해 말 126조6000억원에서 122조7000억원으로 3.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여신과 수신은 각각 2조7000억원, 3조4000억원 줄었다. 자기자본도 지난해 말 14조7000억원에서 14조5000억원으로 1.4% 감소했다. 시장에서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같은 부실 사태가 재현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가능성엔 선을 그었다. 건전성이 악화하고 있지만 대손충당금적립률과 손실흡수능력을 감안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69%로 법정기준(자산 1조원 이상 8%, 1조원 미만 7%) 대비 2배 수준을 유지했다.

[자료|저축은행중앙회, 참고|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3년말, 2024년 1분기]

유동성 비율도 227.27%로 법정기준 100%를 127.27%포인트 웃돌았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12.99%로 법정기준 100% 대비 12.99%포인트 초과했다. 모든 저축은행이 법정 기준을 넘겨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도 손실 확대가 불기피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손실흡수능력 제고,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 증자를 통한 자본확충 등 경영안정성 유지를 위한 자구노력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