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술 회장님, 당신은 '긱' 자체였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경묵 대표)필자가 정문술 회장을 안 것도 30여년이 다 되어 간다. 현역 기자 중에 그를 가장 오랫동안 지켜본 몇 안 되는 사람이 아닐까 싶다. 그 때문인지 그의 별세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단순한 슬픔을 넘어 기업가를 꿈꾸는 젊은이들의 표상이 될만한 거목이 사라졌다는 회한이다.
사실 정회장만큼 드라마틱한 이력을 가진 이도 흔치 않다. 중앙정보부 출신의 늦깎이 창업, 자살 결심, 1세대 벤처 대부에 오르기까지 그의 사업 여정은 세인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특히 그는 자신의 이력과 나이와는 다르게 일을 누구보다 한 발 먼저 벌이고 즐겼다.
'미래산업'의 미래라는 말은 그냥 붙인 말이 아니었다. 그의 머리는 늘 미래의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로 꽉 차 있었다.
이젠 아는 사람도 별로 없지만 그가 2000년 초기에 스마트폰을 만들려고 회사를 세운 것이나, 당시 라이코스라는 세계 인터넷기업을 국내에 들여왔다는 사실은 그의 이력만 보고서는 상상할수 없는 일들이다.
기억 하나. 필자가 그를 처음 만난 1990년대 초반은 미래산업이 반도체 검사장비인 핸들러로 시장에 명함을 내밀 무렵이었다. 당시 정 사장은 '정직한 경영'으로 돈을 번 우리나라 최초의 기업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물론 그때는 그냥 하는 얘기로 들었다.
기억 둘. 1990년대 중반쯤으로 기억된다. 천안공장을 신축하고 그는 어린아이처럼 좋아했다. 작업장을 종업원들이 근무하기 가장 좋은 환경으로 만들고자 했던 평소의 꿈을 이뤘다는 표정이다. 공장 한켠에 대나무숲이 울창한 휴식공간까지 마련했다며 지은 함박웃음은 어린아이 그 자체였다.
부를 세습하지 않겠다는 말을 처음 꺼낸 것도 이 무렵이었던 것 같다. 천안공장 식당에서 상추쌈을 먹으며 마치 큰 비밀이라도 얘기하듯 귓속말을 했다. "어제는 부의 세습의 원인이 되는 일가친척 경영참여 불가 방침 때문에 부부싸움을 했노라"고. 그리고 특유의 어린아이 웃음을 지어 보였다.
그를 알 만큼 알 정도의 시기였지만 역시 또 그러려니했다. 우스개 소리지만 원래 유산이 없는 사람들이 부의 세습 불가운동에 가장 적극적이다. 유산 안물려주기 운동을 펼치는 분들을 폄하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보통의 인간사가 그렇다는 얘기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의 세습은 곧잘 땀을 흘리게 만드는 동인이 되기도 한다. 자식에게는 고생을 안시키겠다는 한 아비의 소박한 기쁨이 일의 원동력이 된다는 얘기다. 더욱이 성직까지 세습하는 요즘 땀흘려 일해 돈을 번 이들에게 그 기쁨을 포기하라고 강요할 권리는 그 누구에게도 없다.
하지만 그는 달랐다. 우리나라 경영환경에선 좀처럼 풀릴 것 같지 않아 보였던 소유와 경영분리 해법을 실천으로 보여줬다. 그것도 모자라 앞으로는 디지털 경제에 맞는 기부문화 시스템을 정착시키겠다고 공언했다. 돈을 버는 법과 쓰는 법 모두를 제대로 보여주겠다는 욕심(?)이었다. 그답다.
기억 셋. 그 다음해에 "이제는 정말 그만하겠다"는 말을 유난히 자주 했다. 하지만 당시 기자는 큰 마음을 두지 않았다. 워낙 벌여놓은 일이 많아서다. 앞서 얘기한 스마트폰, 라이코스사업 등이 한창 진행중인 시절이었다.
그래서 은퇴는 커녕 엉뚱하게 정치나 하지 말라고 타박까지 주었다. 물욕 다음의 인간욕구가 명예욕이라는 것은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보여줬기 때문이다. 젊은 기자의 타박에 허허롭게 웃던 그는 "어차피 떠날 것, 후임이 가장 부담없이 일하기 좋은 시기에 가야 한다"는 말을 되뇌었다. 기자는 결국 큰 낙종을 한 셈이다.
정문술씨는 그렇게 무대에서 내려왔고 필자는 그때 칼럼을 통해 ‘정직경영을 아직도 우습게 아는 젊은 기업인들에게 얼마나 경종을 울릴지도 모르겠지만 배우고 볼 것 없었던 우리의 기업문화에 그는 분명 큰획을 그었다’고 평가했다.
기억 넷. 은퇴 후에도 그의 모습은 종로 파고다 공원 근처에서 종종 보였다. 전국의 긱(geek)한 사람을 모두 불러 밥사주며 오랫동안 후원했다. 은퇴는 했지만 또 미래를 못버린 것이다.
카이스트에 큰 돈을 쾌척한 것도 사실 이광형 총장이 교수치곤 긱한 면이 많아 이 총창에 반한 탓이 크다. 누구보다 긱한 이총장이라면 우리나라의 미래를 열 기술을 찾을 거라는 믿음이 정회장을 움직였다는게 필자의 판단이다.
기억 다섯. 카이스트 쾌척 이후 두 해 정도 지난 일인거 같다. 어느날 필자를 불러 밥을 사면서 "다 내려놨다고 생각했는데 난 아직 멀은 거 같아" 하면서 그림 얘기를 해주는 거다...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정회장은 그림에 조예도 깊고 엄청난 수집광이다. 은퇴후 사모님과 일본 가서 골프를 치는데 별안간 회사와 집에 걸려놓은 그림 걱정이 그렇게 되더라는 거다. "그래서 오자 마자 그림도 그냥 기부해 버렸어"라는 말과 함께 고춧가루 낀 이를 보이면서 함박 웃었다.
그게 필자가 기억하는 정회장이다.
그런 그가 허망하게 갔다. 평생 미래라는 화두를 붙들고 살아온 그라면 아직도 보여줄 것이 남아 있을 것 같은데…
회장님! 이제 더 이상 국가의 ‘미래’를 걱정하지 마시고 그곳에서 편히 쉬세요… 당신은 충분히 하실만큼 하셨습니다. 그것도 생각이 아니라 온몸으로 다 보여주셨습니다.
영면하세요.
김경묵 드림.
김경묵 대표(kmkim@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문술 회장 별세…"이 돈 모방하는데 쓰지 마세요"
- 왜 대한민국엔 미래 담론이 없는가
- 지스타2024 D-1, 부산에 대작 게임 총출동...기대작 엿본다
- 배달앱 상생협의체 내일 개최...합의 성사될까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AI 기본법 연내 통과 희망"
- 카카오, 오픈채팅 151억 과징금 행정소송...'개인정보 정의' 쟁점
- 이석희 SK온 대표 "트럼프, IRA 급진적 개정 어려울 것"
- 유증 철회한 최윤범, 고려아연 이사회 의장직서 물러난다
- "생각보다 안 팔리네"…中 업체, 폴더블폰 철수 고민
- 시지트로닉스 "센서·GaN 반도체 사업 본격화…신규 팹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