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가 집이지 빌라는 아니라는 2030[김영주 기자의 부동산 깊이보기]

김영주 기자 2024. 6. 14. 11: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후배가 결혼한 건 2013년쯤이다.

아파트로 내집마련 한 또래들을 보면 박탈감이 심하단 후배는 "아파트가 집이지 빌라는 아니다"고까지 토로했다.

청년 세대는 젊은 날 잠시 전·월세로 빌라에 살지언정 가정을 꾸리면 혹은 꾸리기 위해선 아파트를 사야 한단 생각이 명확한 듯하다.

하지만 현재의 주택 정책은 빌라,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까지 한데 주택 수로 산정해 다주택자에게 취득세와 양도세, 종합부동산세로 철퇴를 가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배가 결혼한 건 2013년쯤이다. 20대 사회 초년병이 작은 종잣돈으로 마련할 수 있는 보금자리는 지하철 2호선 역세권의 준신축 빌라였다. 20평 남짓한 빌라를 예비 신랑과 함께 셀프 리모델링하는 건 고된 일이었지만 아늑한 신혼집을 마련했다는 기쁨이 앞섰다. 하지만 10년여가 흐른 지금 그때의 선택이 후회된단다. 아파트로 갈아타기를 하려고 헐값에 내놔도 산다는 사람이 없고, 유주택자라 아파트 청약 가점은 터무니없이 낮다. 아파트로 내집마련 한 또래들을 보면 박탈감이 심하단 후배는 “아파트가 집이지 빌라는 아니다”고까지 토로했다.

서울의 전체 주택 311만1323채(2022년 주택 총조사) 중 아파트 185만1223만 가구를 제외한 126만 가구는 다세대와 연립주택, 단독주택 등 비아파트다. 2022년 주거실태조사를 보면 서울 거주 인구의 43%만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그런데 전체 서울 주택의 절반이 넘는 비아파트는 어쩌다 집이 아니라는 소리까지 듣게 되었나.

2022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 가구(만19세 이상∼34세 이하)의 82.5%가 임차로 거주하고 있다. 거주 유형은 단독주택이 38.1%, 아파트가 31.4%, 다세대가 11.2% 순이었다. 하지만 결혼 7년 이하 신혼부부의 거주 형태는 청년층과 확연히 달랐다. 43.6%가 자가에 거주하고, 73.3%가 아파트에 거주했다. 단독주택 거주는 10.7%, 다세대는 10.5%에 불과했다. ‘집은 사는(Buy) 곳이 아니라 사는(Living) 곳이다’라고 했던가. 청년 세대는 젊은 날 잠시 전·월세로 빌라에 살지언정 가정을 꾸리면 혹은 꾸리기 위해선 아파트를 사야 한단 생각이 명확한 듯하다. 서울 집값이 비싸 결혼하기 어렵다는 말 속에는 ‘집=아파트’라는 공식이 뿌리 깊게 자리한 것이다.

아무도 소유하고 싶어 하지 않는 주택은 슬럼화된다. 실거주자들은 슬럼화한 동네에 자산 취득을 기피한다. 그렇다면 빌라를 살 사람은 전·월세 수익을 기대하는 다주택 투자자들밖에 남지 않는다. 하지만 현재의 주택 정책은 빌라,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까지 한데 주택 수로 산정해 다주택자에게 취득세와 양도세, 종합부동산세로 철퇴를 가한다. 그리하여 빌라는 2억 전세로는 거주할지언정 2억2000만 원을 주고 소유권을 갖고 싶진 않은 ‘애물단지’가 되어 버렸다. 빌라 전세 사기의 불씨도 이 지점에서 생겨났다. 규제를 완화해 빌라도 충분히 보유할 만한 자산임을 인식시키지 않는다면 빌라 시장의 빙하기와 주택 시장의 양극화는 지속될 것이다. 그리고 아파트를 향한 청년층의 열망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