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노조들 “교수 집단휴진은 최악의 오판, 진료 예약 변경 직접 하시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세대의대·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집단휴진을 선언하자, 이 병원 노동조합은 "진료 연기, 예약 취소 등 집단행동으로 파생된 업무는 일절 거부할 것"이라고 13일 밝혔다.
앞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동조합도 교수들의 집단휴진을 비판하는 대자보를 게시했다.
노조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집단휴진에 참여하는 병원 의사들을 향해 "집단휴진 결정을 철회하고, 지금 당장 진료에 복귀해야 한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 노조 “생계의 위협 받고 있어”
연세대의대·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집단휴진을 선언하자, 이 병원 노동조합은 “진료 연기, 예약 취소 등 집단행동으로 파생된 업무는 일절 거부할 것”이라고 13일 밝혔다. 앞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동조합도 교수들의 집단휴진을 비판하는 대자보를 게시했다.
노조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집단휴진에 참여하는 병원 의사들을 향해 “집단휴진 결정을 철회하고, 지금 당장 진료에 복귀해야 한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들은 “집단행동은 의대 교수의 노고를 이해하는 병원 노동자들마저 등 돌리게 하는 최악의 오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가 사직서 수리, 행정조치 철회를 발표했는데도 집단휴진을 강행하는 것은 명분을 상실한 무리수”며 “‘이 나라는 의사가 지배하나?’는 국민들의 반문을 칭찬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정부를 향해서는 “의사 단체들을 비난하는 것으로 이번 사태에 면죄부가 생기는 것이 아니다”며 “정부는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사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노조에 따르면 강남·신촌·용인 세브란스 3개 병원의 하루 평균 외래 환자는 1만 7000명, 수술 건수는 500건, 입원 환자는 3300명에 달한다. 이들은 “의대 교수들이 집단 휴진에 돌입하면 생사의 갈림길에 있는 이들의 수술이 연기되고, 환자들은 불안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고 말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동조합은 지난 10일 의사 집단 휴진을 멈춰 달라는 내용의 대자보를 게시했다. 이들은 ‘히포크라테스의 통곡’이라는 제목의 대자보에서 “휴진하려는 교수들은 직접 진료 예약 변경을 하도록 해라”고 말했고, “(전공의 이탈로 촉발된) 병원 경영 악화에 따른 책임을 오로지 조합원들이 감내하며 업무 과중과 무급휴가 사용에 내몰려 생계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中 전기차 BYD, 보조금 늦어져 2개월째 출고 ‘0′
- [당신의 생각은] 민주당 “대형마트 쉬는 날 다시 일요일로” 추진… 전통시장·자영업자 “평일
- 4대 은행 아닌데 직원도 ‘억대 연봉’ 주는 이곳
- [실손 대백과] 입원치료비 분쟁 증가… 병원만 믿으면 낭패 ‘필요성’ 인정돼야
- 국민연금 ‘파워’ 통했나… 반 년 전 우려와 달리 자금도, 기업도 모이는 마곡 원그로브
- [비즈톡톡] 롤렉스, 리셀러와의 전쟁…이젠 직업까지 물어보고 판다
- [주간증시전망] 500만 삼성전자 주주의 이목이 젠슨 황 엔비디아 CEO에 쏠린다
- 비만약 2차전서 마운자로 우세승…수면무호흡·지방간 치료에 위고비보다 나아
- [재테크 레시피] 최애팀 우승하면 이자 쌓인다… ‘스포츠 재테크 예적금’ 뭐가 있을까
- [시승기] 제로백 5.2초 폭발적 가속력… 3년만에 바뀐 기아 ‘EV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