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여 각성하라" 일제에 항거하며 쓴 '민영환 유서'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을사늑약에 죽음으로 항거한 충정공 민영환의 유서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
'민영환 유서(명함)'는 2,000만 동포들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유서가 적힌 명함이다.
민영환의 옷깃 속에서 발견됐으며, 마지막에 "결고(訣告) 아(我) 대한제국(大韓帝國) 이천만(二千萬) 동포(同抱)"라고 적혀 있어 동포들에게 남긴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유서가 적힌 명함은 봉투에 넣은 채 유족이 소장하고 있다가 1958년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기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을사늑약에 죽음으로 항거한 충정공 민영환의 유서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
국가유산청은 "대한제국의 외교관이며 독립운동가인 민영환(1861~1905)의 유서가 적힌 명함을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됐다고 13일 밝혔다. 동학농민혁명 당시 시대상을 살필 수 있는 전북 유생의 일기 '홍재일기'와 일제강점기 공장 합숙소 '미쓰비시 줄사택'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됐다.
'민영환 유서(명함)'는 2,000만 동포들에게 각성을 촉구하는 유서가 적힌 명함이다. 민영환의 옷깃 속에서 발견됐으며, 마지막에 "결고(訣告) 아(我) 대한제국(大韓帝國) 이천만(二千萬) 동포(同抱)"라고 적혀 있어 동포들에게 남긴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유서가 적힌 명함은 봉투에 넣은 채 유족이 소장하고 있다가 1958년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기증했다.
'홍재일기'는 전북 부안군의 유생 기행현이 1866년부터 1911년까지 45년간 작성한 일기로, 밝혀진 바 없었던 동학농민혁명 백산대회(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을 알린 대규모 군중집회)의 일자를 '1894년 음력 3월 26일'로 명시했다. 당시의 물가 변동, 가뭄, 세금 등 지역사회 변화상이 구체적으로 기록돼 있다.
인천 부평구에 남아 있는 '미쓰비시 줄사택'은 일제강점기 미쓰비시(三菱) 제강에 동원된 한국인 노동자들이 합숙생활을 한 곳이다. 연립주택처럼 여러 호의 집이 줄지어 있어 '줄사택'으로 불렸다. 국가유산청은 "광복 후에도 도시 노동자를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삶의 흔적이 남아 있어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이혜미 기자 herstory@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여자 제정신입니까" 의협 회장, 명예훼손 고발 당해 | 한국일보
- '디올백 전달' 최재영 "김건희 여사, 주는 선물 다 받았다" | 한국일보
- 대기업 출신 김 부장은 왜 퇴사 후 택시, 경비 일을 하게 될까 | 한국일보
- "당신이 중국 축구를 구했다"… 중국인들, 싱가포르 골키퍼 식당 '돈쭐' 내줬다 | 한국일보
- 사람 지나가도 풀스윙... 인천공항서 테니스 친 커플 뭇매 | 한국일보
- 여자 노인만 차로 덮쳐 살해… 시청률 터진 '크래시', 소재부터 다르다 | 한국일보
- 다니엘 헤니, 13세 연하 아내와 '길거리 뽀뽀' 화제 | 한국일보
- 은퇴 시기 고민하는 메시..."시간 많이 남지 않아" | 한국일보
- 주민 30%가 고령자인데... 15층 아파트 엘리베이터 24대 다 멈췄다 | 한국일보
- 박명수, 인도서 인종차별 당했다…럭키 "예의 지켜라" ('위대한 가이드')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