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탐사, 차분하고 끈기있게… 노르웨이도 4년 걸렸다”
“노르웨이가 지난 50여 년간 북해 석유·가스전에서 2조달러(약 2750조원)를 벌었지만, 그 첫 시추공은 아무것도 나오지 않은 건공(dry hole)이었습니다. 실패로 시작했죠. 석유·가스 탐사는 어렵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입니다. 정부와 국민 모두 서두르지 말고 차분하고 끈기 있게 추진해야 합니다.”
노르웨이를 유럽의 평범한 국가에서 1인당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4위의 부국(富國)으로 만든 북해 석유·가스전을 운영하는 에퀴노르(Equinor)의 앤더스 오페달(Opedal) 회장이 출장차 한국을 방문, 12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에퀴노르 한국지사에서 본지와 단독 인터뷰를 가졌다. 최근 가장 뜨거운 주제로 떠오른 동해 영일만 심해 가스전을 중심으로 에너지 산업·정책 전반에 대해 물었다. 오페달 회장은 석유·가스 개발 전문가로 글로벌 시추 서비스 기업인 미국 슐럼버제이를 거쳐 1997년부터 에퀴노르의 전신인 스타토일(Statoil)에 합류했다. 2020년부터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다.
-최근 동해 영일만에 석유·가스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발표된 뒤 논쟁이 뜨겁다. 노르웨이의 석유·가스 개발 역사는 어땠나?
“1959년 네덜란드 흐로닝언에서 유전이 발견된 뒤, 북해 탐사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정부가 주도해 1965년 78개 광구에 광업권을 내주면서 본격적으로 탐사에 나섰다. 하지만 1966년 여름에 뚫은 첫 시추공은 건공으로 판명됐고, 1967년엔 석유가 나오기는 했지만 경제성이 없었다. 본격적인 탐사에 나선 지 4년이 지난 1969년에야 첫 석유·가스전을 발견했고, 1971년부터 생산을 시작했다. 전신인 스타토일이 생긴 1972년부터 따지면 지난 50여 년의 매출은 2조달러에 이른다.”
-자원 개발 초기 노르웨이의 분위기는 어땠나?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고 들었다.
“맞다. 1950년대 말까지도 노르웨이 근해에 석유나 가스가 매장돼 있을 거라고 믿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탐사 초기엔 실패도 이어졌다. 하지만 노르웨이는 업계와 정부, 정치권 등 모두가 자원 개발을 통해 얻는 이익이 국민에게, 특히 후대에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고, 국부 펀드를 조성했다. 노르웨이 석유·가스 개발에서 이것이야말로 가장 성공적인 점이었다.”
-석유·가스가 노르웨이를 어떻게 바꿨나?
“석유·가스가 발견되기 전만 해도 노르웨이는 국민이 돈을 벌러 이웃 국가 스웨덴으로 가는 나라였다. 1인당 GDP는 스웨덴의 절반 수준이었다. 하지만 유전이 발견된 뒤로는 유럽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나라가 됐고, 세계적인 부국으로 성장했다. 이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어지면서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오는 가스가 끊어지자, 생산량을 늘리며 유럽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은 자원 개발 역사도 짧고, 경험도 거의 없다 보니 동해 영일만 개발을 두고 논란이 많다.
“석유·가스 탐사를 위해선 지질학적인 연구도 필요하고 시추 기술도 있어야 한다. 수천m 밑에 있는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일인 만큼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상당한 전문성과 지치지 않는 체력이 요구된다. 정부와 공기업은 뚝심 있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정치권과 국민들은 차분하게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한다. 노르웨이의 개발 경험으로부터 한국이 배울 것이 있을 것이다.”
-한국에는 이번에 무슨 일로 왔나?
“해상 풍력 사업 논의가 주요 목적이다. 에퀴노르가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기업과 같이 할 일이 많다. 이미 석유·가스 사업 과정에서 2011년부터 10차례 이상 한국을 찾았다. 한국의 HD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한화오션 등과 선박, 생산 플랫폼 등 다양한 설비 분야에서 협력해 왔다. 부유식 해상 풍력에서도 한국 조선업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해상 풍력 발전이 가능성이 있나?
“에퀴노르는 세계 각 지역에서 해상 풍력이 유망한 곳을 다수 분석했다. 그리고 그 같은 과정을 거쳐 선택한 지역 중 하나가 한국이다. 동해 등 한국 바다는 풍속도 우수하고 안정적이다. 한국 정부의 해상 풍력에 대한 의지도 강하고 전기 수요도 풍부하다.”
-제조업이 많은 한국에 가장 적합한 미래 에너지 전략은 무엇이라 생각하나?
“에너지 전환에서 나라마다 출발점은 모두 다르다. 전력 생산의 90% 이상을 수력으로 충당하는 나라가 있는가 하면, 아직 석탄화력발전을 하는 나라도 많다. 전 세계 모든 국가가 똑같은 속도로 에너지 전환을 할 수 없다. 해당 에너지를 계속 공급할 수 있는지, 가격은 감당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해 각국에 맞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
-한국은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함께 늘리고 있다. 한국에 적절한 에너지 믹스는 무엇이라고 보나?
“에너지 믹스를 어떻게 하느냐는 전적으로 한국 국민들이 선택하고 판단할 영역이다. 화석연료든 재생에너지든 경제성·지속가능성 등을 고민해야 한다. 다만 한국 현실에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해선 해상 풍력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에퀴노르는 이름에서도 석유(oil) 대신 균형(equilibrium)을 넣고, 에너지 전환에 나서고 있다. 2050년 탄소 중립 달성은 어떨 것으로 보나.
“탄소 중립에서 가장 중요한 건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향해서 계속 노력을 하는 것이다. 2050년까지 ‘어렵다’, ‘안 된다’에 초점을 맞추고 추진하면 절대 달성할 수 없다. 물론 탄소 감축은 일정하게 선형적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굴곡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에퀴노르는 어떤 기업
노르웨이 에너지 공기업으로 1969년 노르웨이가 근해에서 석유·가스 탐사에 성공한 이후 1972년 설립됐다. 석유·가스뿐 아니라 풍력·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까지 개발해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다. 30국에 2만1000여 명의 임직원을 두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 매출액은 약 145조원 규모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2기 앞두고…美, TSMC에 9조2000억원 보조금 확정
- 러 반정부 세력 견제하려...강제수용소 박물관 폐쇄
- 한국야구, 일본에 3대6 역전패… 프리미어12 예선 탈락 위기
- 서해안고속도로 팔탄 분기점 인근 5중 추돌 사고…1명 숨지고 2명 다쳐
- 동덕여대 “피해액 최대 54억”… 총학 “돈으로 겁박말라”
- 연기자로 美 OTT 데뷔...리사, 특급 배우들과 ‘할리우드 이슈’ 표지에
- [전문] “민의 왜곡, 죄책 가볍지 않다” 이재명 1심 판결 요지
- 5년만에 다시 설산으로... ‘스키 여제’ 린지 본 복귀
- 한 몸처럼 움직인 홍명보호... 상대 수비진 키까지 계산했다
- 尹, 사과 회견 이후 지지율 20%대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