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샘나무숲’ 조성해서 집 나간 꿀벌들 부른다

최상원 기자 2024. 6. 12. 16: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꿀벌이 살기 좋은 환경이면 사람도 살기 좋겠죠." 경상남도가 꿀벌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꿀벌이 좋아하는 수목을 집중적으로 심어 50만㎡ 규모의 밀원숲을 조성하기로 했다.

밀원숲은 꿀벌이 꿀을 빨아 오는 나무(밀원수)가 모여 있는 숲을 뜻한다.

경남도는 12일 "지리산·덕유산·가야산 등 국립공원이 있는 하동·산청·함양·거창·합천 5개 군에 아까시·헛개·쉬나무 등 '꿀샘나무'(밀원수)로 구성된 50만㎡ 규모의 밀원숲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리·덕유·가야산 권역 50만㎡ 밀원숲 조성
경남도는 꿀벌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밀원숲 조성, 채밀권 경매제 도입 등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상원 기자

“꿀벌이 살기 좋은 환경이면 사람도 살기 좋겠죠.”

경상남도가 꿀벌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꿀벌이 좋아하는 수목을 집중적으로 심어 50만㎡ 규모의 밀원숲을 조성하기로 했다. 밀원숲은 꿀벌이 꿀을 빨아 오는 나무(밀원수)가 모여 있는 숲을 뜻한다.

경남도는 12일 “지리산·덕유산·가야산 등 국립공원이 있는 하동·산청·함양·거창·합천 5개 군에 아까시·헛개·쉬나무 등 ‘꿀샘나무’(밀원수)로 구성된 50만㎡ 규모의 밀원숲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5개 군이 소유한 산에서 경제성이 떨어져 나무 종류를 바꿀 필요가 있는 지역을 선정해, 군마다 10만㎡씩 밀원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밀원수 종류는 각 군이 정하기로 했다. 내년 봄 5개 군 전체에 5만~7만5천그루의 밀원수 묘목을 심으면, 2030년쯤부터 벌꿀을 채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사유지에 밀원수 심기를 권장하는 차원에서 ‘채밀권 경매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개인이 소유한 숲에 양봉업자가 벌통을 설치하고 벌꿀을 채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되, 양봉 수익 일부를 밀원숲 소유자와 나누게 함으로써 숲 소유주들에게 밀원수 식재 동기를 갖게 하려는 취지다. 경남도는 밀원숲을 조성하기로 한 5개 군에서 우선 이 제도를 시범운영할 방침이다.

벌꿀 채취 기간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밀원수를 갖춘 지역특화림 조성도 함께 추진한다. 밀원수라고 하더라도 벌꿀 채취 기간은 꽃이 피는 시기에 한정된다. 따라서 장기간 꿀을 채취하려면 3월 회양목, 4월 벚나무, 5월 아까시, 6월 밤나무, 7~9월 싸리·쉬나무 등 꽃 피는 시기가 서로 다른 밀원수가 필요하다.

승장권 한국양봉진흥원장은 “중요한 것은 벌꿀이 아니라 꿀벌이다. 정부는 양봉산업의 방향을 벌꿀 생산 산업이 아니라 꿀벌 생산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이 몇년째 계속되는데, 정부는 양봉농가 지원 방안을 내놓기에 앞서 원인 조사부터 철저히 해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남도 산림관리과 담당자는 “최근 몇년 동안 꿀벌이 급감하고 있으나, 밀원숲 조성을 통해 꿀벌 생태계를 복원하면 기후위기 대응, 양봉농가 경쟁력 강화, 산림소득 증대, 산림 생태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에 등록된 양봉농가는 3300여가구로 전국에서 경북 다음으로 많다. 양봉농가와 벌통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개화 기간 감소, 밀원수 부족, 병해충 증가 등으로 생산성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조사 결과 국내 밀원 면적(2021년 기준)은 1500만㎡로, 1970~1980년대 밀원 면적(4800만㎡)의 30% 수준에 불과하다. 꿀을 구하려는 꿀벌의 경쟁이 치열해진 셈인데, 이 역시 꿀벌 대량 폐사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