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째서 '크래시'는 펄펄 나는데 '플레이어2'는 그렇지 못할까
[엔터미디어=정덕현] 시간대는 살짝 달라도 똑같은 월화에 방영되고, 다양한 범죄 빌런들이 등장하고 그들을 응징하는 인물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는 점에서 ENA <크래시>와 tvN <플레이어2:꾼들의 전쟁(이하 플레이어2)>은 닮았다. 최근 등장한 범죄 소재를 보면 <플레이어2>에서 음주운전에 도와주려는 사람을 치어 죽게 만드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교통범죄를 다루고 있는 <크래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이기도 하다.
두 드라마가 모두 비슷하게 가져온 건 빌런들 때려잡는 가상의 팀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플레이어2>가 강하리(송승헌)를 위시해 사기꾼과 해커, 파이터, 드라이버가 뭉친 팀이 빌런들과 맞서는 주인공들이라면, <크래시>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교통범죄수사팀(TCI)이 그들이다. 또한 두 드라마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정의에 대한 인식 또한 유사한데 그건 법이 공평하지 않다는 점이다. 범인을 잡아도 그가 고위층 자제로 각종 법과 권력의 비호를 받는 상황들이 두 드라마에서 공통으로 등장한다.
이건 최근 범죄물들이 갖고 있는 특징이기도 한데, 사법 정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에 대한 대중들의 분노와 답답함이 투영된 현상이다. 그래서 <크래시>의 경우 최강빌런은 갖가지 범죄에도 자식이라는 이유로 뒤를 봐주는 표명학(허정도) 경찰청장이다. <플레이어2>에도 사람을 죽인 재벌2세를 미술품 로비를 통해 집행유예로 나오게 해주는 해결사 백현미(류화영)가 등장한다. 법 위에 군림하는 자들과 벌이는 대결이 두 드라마의 핵심적인 갈등 상황이다.
하지만 이처럼 유사한 두 드라마에도 차이점이 있다. 그건 가상의 팀이 등장해 빌런들을 때려잡는 허구의 영역이 등장하지만, 범죄를 다루는 실감의 차이다. <플레이어2>가 케이퍼물의 특징을 가져온 오락물에 가깝게 범죄의 세계를 그려낸다면, <크래시>는 좀더 현실 범죄의 리얼리티를 밑그림으로 깔아놨다. <크래시>가 매회 엔딩 끝에 '경찰서 사람들'이라는 코너를 만들어 극중에 등장했던 각종 범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대목은 이 작품이 가진 이러한 색깔을 잘 드러낸다.
또한 이 현실감의 차이는 주인공 설정에서부터 드러난다. <크래시>의 주인공 차연호(이민기)는 실제 범죄의 피해자이기도 하다. 그래서 애초에 그가 뛰어든 교통범죄사건에 대한 태도 자체가 가벼울 수가 없다. 하지만 <플레이어2>의 강하리는 동료가 살해됐고 그래서 복수를 하려는 마음을 갖고 있지만 그에 대한 절실함보다는 가벼운 접근이 엿보인다.
그건 그가 팀을 꾸려 하고 있는 일들이 애초 정의구현이 아니라 돈을 버는 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물론 그건 진심을 숨기고 있는 것이긴 하지만 드라마가 다소 오락적인 성격으로 비춰지는 건 어쩔 수 없다. 심지어 사건 의뢰의 배후로 대통령이 등장한다는 것 역시 이 드라마의 비현실성을 잘 보여준다.
이 차이는 시청자들에게 실감과 몰입감의 차이로 다가온다. <플레이어2>가 일종의 치고받는 게임 같다면, <크래시>는 허구가 환기시키는 현실적인 범죄의 심각성이 느껴진다. 바로 이 지점은 <플레이어2>와 <크래시>에 대한 시청률의 차이를 만든다. <크래시>가 2.2%(닐슨 코리아)에서 시작해 6.3%까지 지속적인 상승세를 그려온 반면, <플레이어2>는 4.1%로 시작해 3.5%로 완만한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물론 <플레이어2>는 이제 겨우 4회가 방영됐을 뿐이고, 뒤로 가면서 어떤 에피소드들이 등장할 것인가에 따라 반등기회는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범죄를 응징하는 시원한 사이다를 똑같은 효능감으로 주는 드라마에서 얼마나 고구마가 느껴지는 현실감을 끌어오는가의 문제는 중요할 수 있다. 공전의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선재 업고 튀어>의 후속으로 잔뜩 기대감을 갖고 출발했던 <플레이어2>가 <크래시>처럼 빌드업된 상향곡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전제가 아닐까 싶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ENA, tvN]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잘 나가는 ‘커넥션’ 제작진에게 바라는 단 한 가지, 제발 용두사미만은 - 엔터미디어
- 학원강사 미화라고? ‘졸업’이 정려원을 통해 진짜 꼬집은 것들 - 엔터미디어
- 이효리를 통해 저마다의 엄마가 떠올라 촉촉해지는 시간(‘엄마, 단둘이’) - 엔터미디어
- 지성이 주도하는 도파민 파티,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커넥션’ - 엔터미디어
- 위로와 감동도 슈퍼히어로급...막방이 아쉬운 ‘히어로는 아닙니다만’ - 엔터미디어
- 반박 불가 지성의 압도적 연기력, 이러니 ‘커넥션’에 과몰입할 수밖에 - 엔터미디어
- 김구라의 기고만장 망발을 우리가 언제까지 참고 이해하고 봐줘야 하나 - 엔터미디어
- 이토록 애틋하면서도 섬뜩한 인공지능 SF라니(‘원더랜드’) - 엔터미디어
- 나영석PD 사정은 이해하지만 굳이 이럴 필요 있었을까(‘지락이의 뛰뛰빵빵’) - 엔터미디어
- ‘눈물의 여왕’과 ‘선업튀’를 경험하고 나니 ‘졸업’이 지루하고 피곤하다 - 엔터미디어